
한국 정부는 반도체 산업에 33조 원(약 23.25억 원)의 지원 패키지를 발표하며, 미국의 수입관세 우려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반도체에 대한 관세율을 곧 발표할 것이라고 예고한 후, 한국 정부는 발빠른 대책을 필요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국적 안전 이유로 “전자 공급망 전반에 대한 조사”를 예고하며, 미국 상무부는 반도체와 반도체 제조 장비의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조치를 시작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국의 반도체 산업에 대한 지원은 더욱 절실해졌다.
한국 정부는 이번 지원 패키지를 통해 반도체 클러스터로 향하는 지하 전력 전송선 건설을 보조하고, 선진 산업 단지의 인프라 지원 비율을 30%에서 50%로 늘릴 예정이다. 또한, 2025년부터 2027년까지 반도체 기업에 총 20조 원의 저금리 대출이 제공될 계획이다. 이는 기존의 17조 원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로, 기업의 자금 조달 능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정부는 국내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을 위한 훈련 및 연구 프로그램과 외국 인재를 위한 글로벌 공동 연구 프로그램도 도입할 예정이다. 이는 국내 반도체 인재 양성과 국제 협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은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를 비롯한 세계적인 반도체 제조업체들이 자리 잡고 있으며, 반도체는 국가 주요 수출 품목 중 하나이다. 2024년 한국의 반도체 수출액은 1419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번 지원 발표는 한국 주식 시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국 코스피 지수는 0.68% 상승했으며, 삼성전자가 1.07%, SK 하이닉스가 0.17%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미국은 한국의 두 번째로 큰 수출 시장이며, 2024년에는 수출이 전년 대비 10.5% 증가한 1278억 달러에 도달하며, 이는 7년 연속 새로운 연간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사건의 배경에서 acting South Korean president Han Duck-soo는 트럼프가 한국과 즉각적인 관세 협상을 지시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번 지원책은 한국의 반도체 산업을 더욱 강화하고, 국제적인 불확실성으로부터 기업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한국이 반도체 분야에서의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