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정부는 최근 반도체 산업에 대해 33조 원(약 23.25억 달러)의 지원 패키지를 발표하였다. 이는 미국의 관세 부과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국내 기업들을 보호하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수입 반도체에 대해 곧 관세율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번 지원 안에는 반도체 클러스터를 위한 지하 송전선 건설에 대한 보조금 제공과 고급 산업 단지 인프라의 재정 지원 비율을 30%에서 50%로 증가시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반도체 분야에 속한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는 저금리 대출이 2025년부터 2027년까지 총 20조 원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는 기존의 17조 원보다 증가한 수치이다.
더불어, 정부는 국내 석사 및 박사 과정 학생들을 위한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과 외국 인재를 위한 글로벌 공동 연구 프로그램도 도입할 계획이다. 이러한 조치는 한국이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와 같은 세계적인 반도체 제조업체들이 위치한 나라라는 점에서, 반도체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꾀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2024년 한국의 반도체 수출액은 1419억 달러에 달했으며, 이는 전체 수출의 20%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은 한국의 두 번째로 큰 수출 시장이며, 한국의 미국으로의 수출은 지난해 대비 10.5% 증가하여 1278억 달러에 달했다. 이러한 수치들은 한국 경제에 있어 반도체의 중요성을 잘 보여준다.
한편, 한국의 코스피 지수는 0.68% 상승하였으며, 삼성전자는 1.07%, SK 하이닉스는 0.17%의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반도체 산업 지원 발표와 관련된 긍정적인 투자 심리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한덕수 권한대행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즉시 한국과의 관세 협상을 지시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러한 상황은 향후 한국 반도체 산업의 수출 구조 변화와 더불어,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