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정부가 반도체 산업 지원을 위해 총 33조 원(약 232억 5천만 달러)의 대규모 지원 패키지를 발표했다. 이는 미국의 반도체 수입에 대한 관세 부과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이루어진 결정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조만간 수입 반도체에 대한 관세율을 발표할 것이라고 예고하며, 지난 금요일 자신이 설정한 ‘상호 보복’ 관세에서 반도체를 제외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 미디어에서 국가 안보를 이유로 ‘전체 전자 공급망’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겠다고 밝히며, 미 상무부는 반도체 및 관련 제조 장비, 파생 제품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것임을 알렸다. 이에 대해 한국 정부는 반도체 산업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고 발표했다.
주요 지원 내용으로는 반도체 집적단지에 대한 지하 전력 전송선 건설을 위한 보조금 지원, 첨단 산업 단지 인프라에 대한 지원 비율을 30%에서 50%로 증가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또한, 2025년부터 2027년까지 반도체 기업들에 총 20조 원의 저리 대출이 지원될 예정이다. 이는 기존의 17조 원에서 증가한 수치다.
이와 함께 한국 내 석사 및 박사 과정 학생들을 위한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해외 인재와의 글로벌 공동 연구 프로그램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한국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와 같은 세계적인 반도체 제조업체가 있어, 반도체는 국가의 주요 수출 품목이다. 실제로 2024년 한국의 반도체 수출액은 1419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20%를 차지했다.
최근 한국 코스피 지수는 0.68% 상승했으며, 삼성전자는 1.07%, SK하이닉스는 0.17% 상승했다. 또한, 한국은 미국에 대한 두 번째로 큰 수출국으로서, 2024년에는 미국에 대한 수출액이 전년 대비 10.5% 증가하여 1278억 달러로, 7년 연속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지원 패키지는 한국 경제의 근간인 반도체 산업을 보호하고, 미국의 관세 부과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의 반도체 산업이 미국과의 경제적 관계에서 더욱 안정적인 위치를 확보할 수 있을지를 주목해야 할 시점이다. 한국의 한덕수 대행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즉각적으로 관세 협상을 진행하라고 지시했다고 언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