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방문 희망, 특히 명동은 더욱” – 외국인 관광 증가에도 리테일 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

[email protected]





최근 외국인 관광객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서울의 주요 상권, 특히 명동 지역이 활기를 되찾고 있는 가운데, 리테일 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매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이지스자산운용이 최근 추진한 명동의 ‘타임워크 명동’ 입찰에서는 원매자가 전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남에 따라 명동 상권은 확실히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리테일 자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은 여전히 낮은 상황이다. 글로벌 부동산 솔루션 업체인 CBRE코리아의 자료에 의하면, 지난 1분기 한국의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서 오피스 및 물류센터의 총 거래액이 조 단위를 기록한 반면, 리테일 부동산의 거래액은 약 2345억원에 그쳤다. 이는 주로 중소형 자산에 대한 투자활동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타임워크 명동은 서울 중구 명동1가에 위치해 있으며, 2019년 이지스자산운용이 SK명동빌딩을 매입한 후 리테일, 호텔 및 오피스 복합시설로 탈바꿈한 장소이다. 이 건물은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는 리테일 공간, 3층부터 9층까지는 오피스, 그리고 10층부터 18층까지는 호텔(이비스 앰배서더 명동)로 구성되어 있다. 초기 매각가는 5000억~6000억원으로 예상되었으나, 현재 시장 상황이 좋지 않아 펀드 만기를 연장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이지스자산운용은 이미 2023년 한 차례 타임워크 명동 매각을 시도했지만, 시장의 반응이 미미하여 다시 한 번 펀드 만기를 연장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만약 내년까지도 적정한 매수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또 한 번 펀드 만기를 연장할 예정이라는 소식도 전해졌다. 이러한 상황을 통해 국내외 투자사들이 리테일 자산에 대한 투자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 부각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외국인 관광객의 유입이 증가하고 있는 속에서도 수도 서울의 리테일 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부정적인 상황에 직면해 있으며, 명동 상권의 회복과는 상관없이 큰손들의 리테일 자산에 대한 투자 심리는 불확실한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은 더욱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