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에 대한 한국의 주저함이 커지고 있다. 오종욱 웨이브릿지 대표는 최근의 인터뷰에서 “현재가 디지털 금융의 골든타임으로, 비트코인과 같은 자산을 비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비트코인이 이미 ‘디지털 금’으로 인정받고 있는 만큼, 전통 금융에서 금을 보유하는 것처럼 디지털 금융에서도 비트코인을 보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웨이브릿지는 가상자산 지수 사업과 상장지수펀드(ETF) 사업을 통해 디지털 금융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는 기업으로, 최근에는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PBS)를 새롭게 출시하였다. 웨이브릿지는 이 PBS가 국내 비트코인 현물 ETF 도입에 필수적인 인프라이며, 대형 기관 투자자와 헤지펀드의 거래를 청산하는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오 대표는 “가상자산 시장은 비트코인이라는 자산이 수많은 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어 유동성이 파편화되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비트코인 ETF가 원하는 만큼의 비트코인을 매입하기 위해서는 세계 여러 거래소에서 비트코인을 조달하는 프라임브로커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서 비트코인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시장 위험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비트코인 ETF의 출시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투자자들이 국내 운용사가 만든 비트코인 ETF를 구매해야 금융당국이 시장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해외 비트코인 ETF에 대한 거래가 증가하면 자본 유출이 심화될 것이라는 경고도 잊지 않았다.
특히 오 대표는 미국이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자산을 토큰화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본시장에서의 패권을 강화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한국이 이러한 국제적인 흐름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한국 기관들이 비트코인 ETF 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종욱 대표의 발언은 현재 한국이 디지털 금융 시대에 뒤처질 위험성을 경고하는 동시에, 비트코인 현물 ETF의 조속한 도입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