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주요 산업군 중 13개 분야 가운데 9개 산업의 하반기 수출 전망이 부정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산업연구원은 27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의 연간 수출액이 1.9%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상반기 중에는 1.4%, 하반기에는 2.4%의 감소가 예상된다. 이러한 수출 부진으로 인해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도 0.95%로 제자리걸음을 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연구원이 조사한 13대 주력 산업의 수출 전망은 더욱 암울해졌다. 올해 이들 산업의 수출액은 당초 예상했던 5473억 달러에서 30조 원(227억 달러) 줄어든 524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었다. 특히, 자동차(-8.0%), 일반기계(-7.2%), 철강(-2.1%), 정유(-19.3%), 섬유(-3.3%), 가전(-4.1%), 디스플레이(-2.7%), 이차전지(-3.2%) 등 9개 산업에서는 전년 대비 수출량이 감소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반면, 조선(10.2%), 정보통신기기(5.4%), 반도체(5.8%), 바이오헬스(11.0%) 등 4개 산업은 미국의 관세 조치에도 불구하고 수출 성장이 기대된다. 홍성욱 산업연 경제동향·전망실장은 “상반기 수출이 플러스로 전환된 것은 관세 시행 전 물량이 선주문된 결과”라며, “하반기에는 글로벌 경기 침체와 상반기 물량의 급감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
산업연의 새로운 전망은 지난해 11월의 경제·산업전망과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당시 연구원은 올해 상반기와 하반기 수출액이 각각 1.2%, 3.0%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현재의 상황은 이를 정반대로 뒤집고 있다. 권남훈 산업연 원장은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예상보다 강력한 관세 조치가 발표되면서 내수 침체와 수출에 불확실성을 더했다”고 평가했다.
하반기 수출 실적은 제시된 전망보다 더 나빠질 가능성도 있는 상태다. 미국의 관세 조치를 바탕으로 한 수출 추정은 최근 부과가 유예된 한국에 대한 15% 상호관세의 영향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미국의 대중국 관세가 현재 30%인 상황에서, 향후 145%까지 상승할 가능성도 열려 있어 더욱 우려되는 상황이다.
산업연은 새 정부 출범과 추가경정 예산의 효과에도 불구하고 내수 회복세는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민간소비와 설비투자는 각각 1.0%, 1.8% 늘어나는 반면, 건설투자는 4.7%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 유가는 배럴당 67달러, 환율은 달러당 약 1412원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러한 수치는 대외적으로 불확실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홍 실장은 “미중 무역분쟁의 확산과 무역 및 통화 정책 관련 불확실성, 금융시장의 변동성 강화가 거시경제의 주요 변수가 될 것”이라며, “경제심리 개선 여부와 통상 환경 악화에 따른 수출 피해 정도가 향후 추가적인 변수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