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코인 투자자들, 과도한 규제에 해외로 이탈

[email protected]





최근 한국의 가상화폐 시장에서 개인 투자자들이 해외로 대거 유출되고 있다. 이는 국내의 극심한 규제와 제도 개선 지연에 기인하며, 투자자들이 더 많은 기회를 찾아 해외에서 활동하기 시작한 것이다. 올해 초, 비트코인 가격이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는 가운데, 한국 코인 거래소들은 다소 침체된 상황이다.

가상자산 분석 업체인 크립토퀀트의 자료에 따르면, 11월 한 달간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 한국의 주요 5대 거래소에서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이 16조1705억원에 달했다. 이는 이번에 처음으로 월간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이 10조원을 넘어선 것이며, 연초 2조원대에 머물렀던 거래량과 비교했을 때 무려 7배로 증가한 수치다. 스테이블코인은 일반적으로 1달러에 고정된 코인으로, 가격 변동성으로 인한 시세차익이 아닌 해외 거래소로 자산을 이동하기 위한 목적의 거래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투자 자금의 유출은 주식 시장에 이어 가상자산 분야에서도 ‘투자 이민’이라는 새로운 트렌드를 보여준다.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은 특히 최근 몇 달간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9월에 5조4517억원, 10월에는 9조5629억원으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어, 11월에도 더 많은 자금이 해외로 흐르고 있음이 드러난다.

현재 한국의 가상자산 시장은 하루 거래량이 23조원에 달하며, 이는 전 세계 거래량의 9.05%가량을 차지한다. 그러나 글로벌 주식 시장에 비하면 한국 시장의 시가총액은 2%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이런 점에서 한국은 가상자산 분야에서 남다른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시장임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이 떠나는 상황이 심각하다.

이에 대한 원인은 국내 코인 시장의 과도한 규제에 있다. 특히, 금융당국의 상장 자율성 제한, 파생 거래 금지, 신규 서비스 부족 등이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법인 계좌 불허 및 금융 산업의 진입 장벽이 크게 작용하며, 해외에서 유망한 코인 프로젝트가 시기적으로 상대적으로 늦게 한국에 상장되는 문제 등이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규제 환경은 2017년 이후 국내 블록체인 산업의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더 나은 기회를 찾아 해외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이 같은 투자 자금의 해외 유출 현상은 한국의 가상자산 산업이 조속히 규제 완화와 제도 개선을 이루지 못할 경우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가상자산 시장의 생태계를 어떻게 키울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시급하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