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60일 연장…민생 회복과 대선 준비 집중

[email protected]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60일간의 권한대행 체제를 연장하게 되었다. 그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발표한 대국민 담화문을 통해 “다음 정부의 차질 없는 출범을 위해 헌법과 법률에 따라 대통령선거의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예정된 조기 대선을 위한 중립적인 선거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 권한대행은 현재 직면하고 있는 주요 과제인 대선 준비에 집중하고 있으며, 6월 3일에 실시될 가능성이 높은 선거 일정에 맞춰 법정기한을 준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정하고 투명한 선거 관리가 국민 신뢰를 회복하는 크나큰 열쇠라고 덧붙였다. 이는 정치적 혼란 상황 속에서 국민의 통합을 이루어내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다.

또한 한 권한대행의 두 번째 도전 과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 25% 부과 문제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한미 자유무역협정의 위축 상황 속에서, 도널드 트럼프의 선언은 한국 경제에 상당한 압박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박재완 전 기획재정부 장관은 한 권한대행이 전문적인 통상 경력을 바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적임자임을 강조하며, 오는 9일까지 관세 문제 해결을 위해 총력을 다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미국 재무부의 스콧 베선트 장관은 상호관세가 협상 과정을 통해 조정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며, 한국 측에서 에너지 수입 확대와 같은 무역적자를 줄일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국은 관세 인상의 최악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마지막으로, 최근 발생한 산불 피해 복구와 내수 회복을 위한 추가경정예산도 시급한 상황이다. 정부는 이달 중 최소 10조 원 규모의 추경을 통과시키기 위해 국회와 긴밀하게 소통할 계획이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은 34조7000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요구하며 양측 간 이견이 존재하는 상황이다. 이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 긴급한 지원이 필요한 시점에 더욱 복잡한 상황을 낳고 있다.

따라서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는 정치적 혼란과 경제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선거 관리와 경제 회복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 탄핵 선고를 앞두고 극단적으로 갈리어진 민심을 하나로 묶는 과제가 인내와 지혜를 필요로 하는 만큼, 차기 정부의 출범이 순조롭기를 바라며 정부와 정치권의 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