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오는 25일 발표할 2023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1.6%로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민간 소비와 건설 투자 부진으로 인해 내수 경기 회복이 지연되며 수출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는 점을 반영한 결과다.
23일 연합뉴스가 실시한 경제 전문가 7명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대다수의 전문가들이 한은이 올해 성장률을 약 1.6%로 낮출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중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민간 소비 회복이 느린 가운데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한 자동차 수출 둔화와 반도체 수출의 불확실성이 이번 하향 조정의 주된 원인”이라며 해당 전망을 지지했다. 그는 또한, 추가경정예산이 미뤄지면서 상반기 경기 흐름이 좋지 않다는 점이 성장률 하향 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언급했다.
안재균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도 1.6%로 조정될 것이라고 말하며 “건설투자의 장기적인 부진으로 내수 침체가 이어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덧붙여, 반도체를 제외한 수출 증가세의 둔화가 성장 기여도를 하락 시킬 우려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트럼프 정책이 성장률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구체적 영향력을 판단하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덧붙였다.
안예하 키움증권 선임 연구원 또한 1.6%로의 하향 조정을 예견하며, “트럼프 정책으로 인한 수출 경기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고 내수 부문도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수출 부문과 내수 부문 각각 0.2%포인트와 0.1%포인트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며, 총 0.3%포인트의 조정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성장률을 1.2%로 제시한 JP모건의 박석길 본부장은 “성장의 하방 리스크가 매우 강하다”며 “한은이 성장률 전망치를 조정할 것이라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자사의 전망치보다 높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강경훈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국내 정치 불확실성과 트럼프 정부의 정책으로 인해 기업들이 투자와 고용에 소극적이다”라고 강조했다.
한은은 지난 20일 정치적 불확실성이 경기 하방 효과를 0.2%포인트로 평가하고, 기준금리 동결과 관련해 올해 성장률을 1.6~1.7%로 전망한 바가 있다. 이러한 경제적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한은의 성장률 전망 조정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