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의 투자자들이 서로의 주식 시장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올해 들어 일본의 투자자는 한국 증시에서 발생한 급등세로 이익을 얻었으며, 동시에 일본 시장에서도 많은 이익을 실현한 일학개미들이 두드러졌다. 이런 양국의 투자 성과는 민간 교류 확대에 힘입은 바가 크다.
10일 한국예탁결제원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올해 들어 한국의 투자자들은 일본 주식을 약 3억6702만 달러어치 매도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지난해 말에 비해 보유액이 약 3억6562만 달러 증가하며 순매도가 오히려 보유자산의 증가로 이어졌다. 이는 일본 증시에서 한국 투자자들이 수도수익을 올리는 데 성공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일본의 닛케이225 지수는 올해 6.39% 상승하는 데 그쳤지만, 한국 투자자들의 일본 주식 보유 규모는 18.02% 증가하며 이보다 높은 성과를 달성했다.
일학개미들은 한국 관련 주식 중 대량으로 보유하던 레조낙홀딩스의 주가가 급등하면서 차익 실현을 위한 매도에 나섰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큰 매도 규모를 기록한 레조낙홀딩스는 일본의 반도체 소재 기업으로, 한국의 롯데케미칼이 지분을 매도한 후로 관심을 끌었다. 국내 투자자들은 레조낙홀딩스의 주가가 30% 이상 상승하자 차익 실현을 위해 대부분의 주식을 팔아치웠다.
일본 투자자들 역시 국내 증시에서 양호한 성과를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일본 투자자들은 올해 상장지수펀드(ETF)를 제외한 국내 주식을 1390억원어치 순매도했지만, 이들의 보유 금액은 지난해 말 12조8270억원에서 17조5320억원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코스피 상승률을 초과하는 36.68%의 증가율을 기록한 것이다. 일본 투자자들은 특히 5월에 코스피가 2600선에서 증가하는 과정에서 2180억원어치를 순매수하였고, 이후 수익을 위해 매도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국내 증시가 최근 급등하면서 차익 실현 매도 물량이 일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을 포함한 외국 자금의 지속적 유입이 예상된다고 분석하고 있다. 특히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미국이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 달러 약세를 유도할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국내 증시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이렇듯 한국과 일본의 상호 투자가 활성화되면서 양국의 시장에서 좋은 성과를 내고 있는 투자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두 나라의 경제적 관계뿐만 아니라 투자할 수 있는 기회가 더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