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항공의 경영권 분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한진칼의 주가가 이틀 동안 69%나 급등하며 주목받고 있다. 최근 호반그룹이 한진칼의 지분을 확대함에 따라 경영권을 둘러싼 경쟁이 가열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호반그룹이 실제로 한진칼의 경영권을 확보하는 것은 어렵다고 경고하고 있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진칼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9.94% 상승한 15만6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로 한진칼은 지난 13일의 상한가에 이어 이틀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으며, 12일 장 마감 당시의 주가 8만9200원에서 이틀 만에 68.8% 상승하는 기염을 토했다. 이러한 주가 상승은 호반그룹이 한진칼의 지분을 기존 17.44%에서 18.46%로 늘렸다는 공시 이후 발생한 현상이다.
호반그룹의 한진칼 지분율이 18.46%로 증가함에 따라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및 특수관계인의 지분(19.96%)과의 차이가 1.5%포인트로 좁혀졌다. 이에 따라 많은 소액 투자자들은 고려아연의 경영권 분쟁처럼 한진칼 주가 또한 급등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지고 매수에 나섰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호반그룹의 경영권 인수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조 회장과 그의 특수관계인은 델타항공(14.90%)과 산업은행(10.58%) 등 우호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은 함께 46.10%에 이르는 주식을 확보하고 있다. 더구나 산업은행은 한진칼 지분을 매각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평가받고 있다. 산업은행과 한진칼 간의 주주 간 계약 조건에는 통합 후 관리(PMI) 이행 책임이 명시되어 있어, 산업은행이 쉽게 지분을 처분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또한, 호반그룹이 계획한 공개매수의 성공 가능성도 낮아 보인다. 조 회장 및 그의 우호 지분과 호반그룹을 제외한 35.44%의 지분 중 소액주주가 보유한 비율은 16.52%에 불과하며, 나머지 18.92%는 기관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다. 고려아연과 비교할 때 현재 한진칼 유통주에서 공개매수에 응할 수 있는 주식은 10%도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기관투자자들은 한진그룹과의 거래 관계로 인해 적대적 인수합병에 나설 가능성이 낮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호반그룹이 1조원 이상의 자금을 투입하더라도 한진칼의 지분을 20% 후반대에 불과하게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조 회장 및 델타항공의 지분으로도 경영권 방어가 가능한 수준이며, 경영권 인수의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결과적으로, 호반그룹의 한진칼 지분 매입은 경영권 인수라기보다는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한 전략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호반그룹은 최근 공사비 급등과 분양 시장 침체로 인해 위기를 겪고 있으며, 비건설 부문의 성장은 두드러지는 상황이다. 따라서 주가 상승에 따른 차익 실현만으로도 호반그룹에게는 의미 있는 성과가 될 수 있다.
항공업계에서도 호반그룹의 지분 매입이 경영권 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하고 있다. 외국 항공사들이 대한항공의 경영권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를 선호하기 때문이며, 이들 항공사들이 보유한 한진칼 주식은 대한항공에 유리한 작용을 할 것으로 보인다. 한진그룹은 현재 지분 구조가 안정적이라는 입장이며, 경영권에 대한 우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