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해외 투자은행들이 내년도 한국 경제의 성장률 전망치를 지속적으로 상향 조정하고 있다. 이러한 전망은 올해보다 개선된 성장세를 기대하는 상황에서 나오고 있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8개 주요 투자은행이 추정한 한국의 내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평균 전망치는 지난달 말 기준으로 1.9%를 기록했다. 이는 9월 말 평균치인 1.8%보다 0.1%포인트 상승한 수치이다.
특히 씨티는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6%에서 2.2%로 크게 상향 조정해 나타났다. JP모건과 골드만삭스 역시 각각 2.2%의 성장이 예상된다고 밝혀, 2%대 성장이 점차 현실화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다른 기관들의 전망치는 노무라가 1.9%, UBS가 1.8%, 바클레이가 1.7%를 제시하며, 뱅크오브아메리카는 한국은행의 기존 전망(1.6%)과 동일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올해 한국의 성장률 평균이 1.0%에 불과했던 점을 고려하면, 내년에는 성장 속도가 두 배 가까이 빨라질 것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JP모건은 9월 중 성장 전망치를 2.1%에서 2.2%로, HSBC는 1.6%에서 1.7%로 다시 조정했다.
해외 투자은행들은 내년에 한국의 수출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 기관이 제시한 내년 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율 평균 전망은 5.3%로, 9월 말 평균 4.7%에 비해 크게 향상되었다. 씨티는 경상수지를 4.4%에서 7.1%로, 노무라는 3.9%에서 6.6%로 대폭 상향 조정하였다.
또한, 미국의 관세 인상 같은 무역환경의 불확실성은 존재하지만, 반도체와 자동차 중심의 한국 수출 회복 흐름이 크게 꺾이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은 최근 통화정책 방향 결정문에서 내년 성장률이 8월에 발표된 전망(1.6%)과 대체로 부합할 것이라고 명시했다. 한국은행의 기존 전망은 OECD가 제시한 2.2% 및 IMF의 1.8%에 비해 낮고, 아시아개발은행과 동일한 1.6%이다.
이처럼 여러 외부 요인과 국내 경제의 회복 가능성을 고려할 때, 한국은행은 오는 27일 수정된 경제전망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는 정부와 경제 정책 결정에 있어 중요한 지표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