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 성수기에도 불구하고 해상운임 하락과 중고선 매물 증가

[email protected]



해운업계가 성수기를 맞이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해상운임이 7주 연속 하락하여 침체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최근 1592.59포인트로 떨어지면서 전주 대비 54.31포인트 감소했다. 이처럼 운임 하락이 이어지는 것은 해운업계 전통적인 성수기인 3분기를 맞이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 시장 상황이 침체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운임 하락의 주된 원인은 과잉 공급과 수요 감소로 분석된다.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대규모로 발주된 선박들이 속속 운항에 투입되면서 공급 측면에서의 압박이 증가했다. 한국해양진흥공사에 따르면, 올해 컨테이너선의 총 선대 예측치는 328만TEU(20피트 컨테이너 기준)로 예상되어, 지난해보다 6.3%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향후 2026년에서 2028년까지의 증감률보다 높은 수치로, 공급 과잉을 시사한다.

한편, 물류 수요는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밀어내기 수출(관세 시행 전에 물건을 보내는 수출)’이 올해 하반기에 사실상 종료되면서 수요 감소가 뚜렷해졌다. 이전 2분기에는 중국발 밀어내기 물량으로 인해 수요가 일시적으로 상승했던 바 있다.

이러한 시장 상황 속에서 국내 최대 해운사인 HMM의 실적 전망도 우려스럽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의 추정에 따르면, HMM의 2분기 영업이익은 3938억원으로 예상되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8.9% 감소한 수치이다. HMM 관계자는 “4월과 5월에 급증했던 아시아발 선적량이 감소하고 있다”며 “올해 성수기에도 SCFI가 약세를 보이므로 실적 증가가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중고선박 시장도 위축된 모습이다. 한국해양진흥공사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동안 컨테이너선 거래건수는 전년 대비 24.8% 감소하였고, 매도자는 매물을 시장에 내놓는 경향이 뚜렷하지만, 매수자의 응찰은 제한적인 상황이다. 보고서는 “앞으로도 가격 중심의 신중한 거래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하고 있다.

해운업계의 이 같은 상황은 과잉 공급과 수요 감소의 악순환을 확인시켜주고 있으며, 업계 관계자들은 더욱 경각심을 가져야 할 시점에 놓여 있다. 따라서 향후 해운업계에 미칠 영향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대처가 필요하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