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에 좋다’는 믿음으로 살아있는 개구리 8마리 삼킨 82세 여성, 결국 기생충 감염

[email protected]



최근 중국에서 허리 통증에 효과가 있다는 믿음으로 살아있는 개구리 8마리를 삼킨 82세 여성이 기생충 감염으로 응급 치료를 받은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보도되었으며, 고령층 민간 요법의 위험성을 시사하고 있다.

중국 저장성 항저우에서 장모씨는 오래전부터 허리 디스크로 고통을 겪고 있었고, ‘살아있는 개구리를 삼키면 허리 통증이 완화된다’는 말을 믿었다. 이에 그는 가족에게 개구리를 잡아 달라고 요청했지만, 삼킬 생각이라는 의도는 전혀 밝히지 않았다. 가족은 손바닥보다 작은 개구리를 구해왔고, 장씨는 이들을 조리하지 않고 생으로 삼켰다. 그는 첫날에 3마리, 다음 날에는 5마리를 섭취했지만, 며칠 후에는 극심한 복통을 느끼기 시작했다.

통증이 심해지자 결국 그는 병원으로 이송되었고, 항저우의 저장대 제1부속병원에서 진료를 받게 되었다. 의료진은 검사 결과, 장씨의 체내에서 기생충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옥시필’ 세포의 급증이 관찰되었다. 이는 기생충이나 혈액 질환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으로, 장씨는 소화기관 손상과 함께 스파르가눔이라는 기생충 유충이 발견되었다.

또한 치료 과정에서 장씨는 2주간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퇴원할 수 있었다. 전문가들은 장씨와 같은 사례가 드물지 않다고 경고하며, 고령층의 건강 문제에서 민간 요법의 위험성을 강조했다. 항저우 병원에서 일하는 의사 우중원은 “개구리를 삼키는 것 외에도, 일부 환자들은 뱀 쓸개나 생선 쓸개를 생으로 먹거나 개구리 가죽을 피부에 붙이는 경우가 있다”라고 전하면서, 이러한 민간 요법이 효과가 없음을 경고했다.

장씨의 사례는 단순한 건강 문제를 넘어서 생명에 대한 위협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기생충이 인체에 침투하면 시력 저하나 뇌 감염의 위험까지 증가할 수 있다. 의료 전문가들은 “개구리 가죽을 몸에 붙이면 피부병이 나아진다는 주장은 과학적 근거가 없다”면서, 민간 요법보다 정식 의료 상담을 받고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건은 고령층이 민간 요법을 신뢰한 결과로 인한 위험성을 일깨워준다. 특히 건강 문제를 가족과 충분히 논의하지 않고, 증상 악화 후에야 병원을 찾는 경향이 있는 점이 걱정스럽다. 따라서 건강에 관한 정보는 전문적인 기관이나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