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의 나스닥에 상장된 피텔코퍼레이션(Fitell Corp)이 최신 암호화폐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밈코인 ‘펌프펀(Pump.fun)’을 약 150만 달러(약 20억 8,500만 원)에 매입하며 자사 기업금고에 포함시켰다. 이는 뉴욕증권거래소와 같은 글로벌 재무시장에서의 알트코인 수용 흐름을 더욱 강화하는 사례로 해석된다. 특히, 펌프펀은 시바이누(SHIB)의 경쟁자로 부각되며 기관의 첫 투자 사례로 자리매김했다.
피텔코퍼레이션은 총 2억 1,680만 개의 펌프펀을 매입하며 이번 자산을 트레이딩 목적이 아닌 장기적으로 회사 금고에 보유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단순한 투자에 그치지 않고 기업의 전체적인 디지털 자산 보유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회사 측은 이러한 구매가 솔라나(SOL) 생태계의 확장을 겨냥한 전략으로, 디지털 자산 보유를 지속적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샘 루(Sam Lu) 피텔코퍼레이션 CEO는 이번 투자에 대해 “장기적인 성장 기회를 활용해 주주 가치를 극대화하려는 전략”이라며, 펌프펀이 가진 성장 잠재력을 강조했다. 루 CEO는 특히 불안정한 금융 환경 속에서 강력한 디지털 포트폴리오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첫 번째 밈코인으로 펌프펀을 선택한 이유를 설명했다.
밈코인은 일반적으로 변동성이 크고 리스크가 높은 자산으로 분류되지만, 이번 사례처럼 기업이 공식적으로 채택하는 경우 신뢰성과 유동성이 급격히 개선되며,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평가된다. 피텔코퍼레이션이 이러한 결정을 내린 것은, 밈코인이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기업의 재무전략의 주요 일부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현재 펌프펀의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약 2.5% 상승해 0.006829달러(약 9.5원)로 거래되고 있다. 이번 거래량은 7억 4,916만 달러(약 1조 416억 원)로, 14% 가량 감소했지만, 기관 수요와 계절적 상승 흐름, 즉 ‘업토버(Uptober)’와 결합해 추가 상승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한편, 솔라나의 공동 창립자인 아나톨리 야코벤코(Anatoly Yakovenko)는 펌프펀의 라이브 스트리밍 기능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며, 이를 통해 틱톡 등을 포함한 소셜 플랫폼과 경쟁할 수 있을 정도로 큰 잠재력을 지닌다고 언급하였다. 이러한 개발자의 지지는 펌프펀의 기술적 확장 가능성과 더불어 서비스 범위가 확대될 것이라는 기대를 낳고 있다.
이므로, 이번 피텔코퍼레이션의 밈코인 ‘펌프펀’ 편입 사례는 단순한 암호화폐의 유행을 넘어, 디지털 자산이 기업의 재무 전략에서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전환점으로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