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 객실의 위생 문제, 가장 더러운 물건은 TV 리모컨”

[email protected]



호텔을 찾는 여행객들이 증가하는 가운데, 객실의 위생 상태에 대한 경고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미국 뉴욕포스트는 휴스턴대학교의 연구를 인용하여 일부 호텔 객실에서 세균 수치가 병원 기준보다 최대 10배 이상 높게 측정된 사례가 있다고 보도했다. 이 연구는 호텔 객실이 겉보기에 깨끗하더라도 많은 양의 박테리아와 바이러스가 존재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호텔 객실의 청소는 평균 30분 내외로 진행되는데, 이 짧은 시간 동안에는 모든 부분을 꼼꼼하게 청소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탈리아 한 호텔의 하우스키핑 책임자는 “장식용 쿠션이나 침대의 침구는 거의 손대지 않는다”고 전하며, 그로 인해 쿠션이나 카펫은 외관상 깨끗해 보일 수 있지만 사실상 세균의 온상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호텔 객실에서 가장 위험한 물건은 바로 TV 리모컨이다. TV 리모컨은 여러 손길이 닿지만, 제대로 소독되거나 세척되지 않는 것이 주된 문제다. 한 전문가가 언급한 바에 따르면, TV 리모컨에는 1제곱인치당 수백 마리의 미생물이 살고 있어, 매우 높은 세균 수치를 갖고 있다고 한다. 이는 투숙객들이 자주 사용하면서도 청결이 잘 유지되지 않는 비품이라는 점 덕분이다.

뿐만 아니라, 음식과 접촉하는 얼음통과 컵 역시 심각한 위생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지난해 라스베이거스의 한 호텔에서는 얼음통에서 오염된 바이러스가 발견되어 노로바이러스 집단감염이 발생한 사례도 있었다. 또한, 많은 호텔에서는 컵과 얼음통을 단순히 물로 헹구는 것만으로 청소를 마치는 경우가 많아 보다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전문가들은 전기포트에 물을 끓여 개인 컵이나 비품을 다시 헹구는 것이 안전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욕실 또한 안전한 공간이 아니다. 2023년 한 조사에 따르면 욕조에는 변기 시트보다 최대 40배 더 많은 박테리아가 서식하고 있으며, 호텔 욕실이 비행기보다 더 더럽다는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 여행 전문가는 “5성급 호텔이 아닌 이상 욕조 사용은 자제하는 게 좋다”며 특히 제트 기능이 있는 자쿠지 욕조는 제대로 소독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어 사용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호텔을 보다 안전하게 이용하기 위해 중요한 점으로는 ▲도착 후 장식용 쿠션과 카펫을 치우기 ▲TV 리모컨, 스위치, 전화기 등을 알코올 티슈나 소독 티슈로 소독하기 ▲욕실 매트, 수건, 유리잔, 얼음통 등을 세척 후 사용하기 ▲여행가방을 침대와 직접 닿지 않게 보관하기 등을 권장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를 통해 개인 위생을 유지하며 보다 쾌적한 호텔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