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공개 매각 절차 돌입하며 M&A 시장 주목받을 듯

[email protected]



홈플러스가 추석 연휴 직후 공개 경쟁입찰 절차에 돌입할 예정으로, 국내 M&A 시장에서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이번 매각은 최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지난 3월에 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후 진행되고 있으며, 6월에는 법원으로부터 ‘인가 전 M&A’ 허가를 받아 매각 작업이 본격화되었다.

삼일 회계법인은 오는 11월 10일까지 매각을 완료하기 위해 빠른 시일 내에 공개매각 공고를 낼 계획이라고 전했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은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와의 회의에서 “현재 유력한 협상자와 논의 중”이라고 언급하며 협상 과정의 빠른 진행을 시사했다.

만약 공개입찰에서 적절한 매수자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홈플러스는 청산 절차에 들어가게 될 가능성이 커진다. 이는 홈플러스와 함께 근무하는 전국 100여 개 매장과 2만 명 이상의 직원, 그리고 수십 개의 협력업체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연휴 이후 SK이노베이션이 보령LNG터미널 매각을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IMM인베스트먼트를 선정한 것과 함께, E&F프라이빗에쿼티와 IS동서가 진행하는 코엔텍 매각도 주목받고 있다. 이들을 통해 예상되는 매각가는 각각 5000억 원에서 6000억 원까지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다양한 기관 출자자들로 구성된 새로운 PE 출자 사업도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하반기 동안 군인공제회, 과학기술인공제회, 우정사업본부 등이 총 7600억 원 규모의 PE 출자 공고를 내면서 기존 대형 운용사에 대한 쏠림 현상을 해소하고 협소한 대형운용사 중심의 시장을 변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군인공제회는 3400억 원으로 가장 많은 출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며, 이 외에 우정사업본부와 과학기술인공제회도 각각 2500억 원과 1700억 원을 출자할 계획이다. 행정공제회는 6년 만에 출자사업을 재개하며 VIG파트너스, 케이스톤, 제네시스PE, KCGI 등으로 여러 위탁운용사를 선정하여 2000억 원을 출자할 예정이다.

M&A와 출자사업이 활성화되는 현재, 홈플러스의 운명이 어떻게 결정될지가 시장의 주요한 관심사로 떠오른 가운데, 다음 달까지 진행될 공개매각에서의 성과가 향후 M&A 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