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가 새로운 인수자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인수·합병(M&A)을 추진하고 있는 홈플러스는 회생계획 인가 전 시기적인 상황에서 적합한 매수자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이 과정에서 정부 기관의 개입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농협이 주요한 역할을 맡을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는데, 이는 최근 한미 간의 농산물 개방 협상이 본격화됨에 따라 농협이 홈플러스를 통해 농산물 유통에서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그러나 농협 측에서는 이와 같은 계획에 대해 난색을 보이고 있다. 농협하나로유통은 이미 매년 적자를 기록하고 있어, 홈플러스 인수에 대한 재정적 여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 매각 주관사인 삼일회계법인은 최근 예비 원매자와 접촉을 시작했으며, 9월까지 적격 인수자를 찾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인수 의사를 밝힌 업체는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이마트와 롯데쇼핑이 인수 후보로 언급되고 있으나, 이들 또한 현재 자사의 점포 수를 줄이는 과정을 겪고 있어 추가적인 인수에 나설 여력은 상당히 낮아 보인다.
쿠팡은 홈플러스의 주요 인수 후보로 대두되고 있지만, 쿠팡 역시 오프라인 진출에는 소극적이며, 이미 전국적으로 물류센터와 거점을 확장한 상태이다. 이러한 점에서 정부가 이러한 인수전에 개입해야 한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고용 문제와 같은 여러 사회적 요인을 고려할 때, 정부의 개입이 필요할 수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농협은 농산물 유통의 중요한 축이지만, 내부 재무 구조가 악화되어 인수를 위한 자금 조달이 쉽지 않은 현실이다. 만약 농협이 홈플러스를 인수한다면, 하나로마트에 이어 유통 가능성이 더 넓어질 수 있지만,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반발이 클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농협하나로유통의 매출이 1조2710억원에 달했으나, 영업손실도 404억원에 이르렀다는 점은 인수 결정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또한, 홈플러스의 분리 매각 가능성도 한번 제기되었지만, 매각 주관사와 회생 법원은 이는 어렵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분리 매각의 경우, 실적이 저조한 점포들만 남을 위험이 크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추가 매각이 힘들어져 홈플러스를 완전히 구제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결국, 홈플러스의 새로운 주인은 현재의 불확실한 경제적 환경과 관련된 사회적 요인에 의해 더더욱 미궁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