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피해보상 요구와 김병주 회장의 사죄…책임 다하겠다 밝혀”

[email protected]



14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이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하다”며 고개를 숙였다. 이날 국정감사는 홈플러스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발생한 피해와 롯데카드 해킹 사건을 둘러싼 논의로 뜨거웠다.

김 회장은 MBK파트너스가 2015년 영국 테스코로부터 약 7조원 규모로 홈플러스의 경영권을 인수한 뒤, 자산 매각과 임대 전환 등을 통해 현금을 회수한 이유로 비판을 받았다. 현재 홈플러스는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한 상태로, 구조조정 과정에서 1만여 개 납품업체와 3만 명의 인력이 피해를 본 것으로 추정된다.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MBK는 미지급된 경상대금을 즉시 지급하고, 사재 출연으로 유동성을 보장해야 한다”며 입점업체 노동자에 대한 피해보상안을 제시할 것을 강하게 촉구했다. 이에 대해 김 회장은 이해관계자에 대한 책임을 다하겠다고 응답했지만, 구체적인 보상 계획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김 회장은 홈플러스 회생과 롯데카드 해킹 관련 질문에 대해 “내 역할은 자금 조달로, 자금을 받은 곳을 관리하는 것”이라며 사회적 책임을 느끼고 있다는 말씀을 덧붙였다. 그러나 여전히 책임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은 피했다. 김 회장이 현재까지 사재로 출연한 금액은 약 400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날 의원들은 MBK파트너스의 ‘먹튀 논란’에 대해 “극약처방이 필요하다”며 공정거래위원회에 엄정한 조치를 촉구했다. 김현정 민주당 의원은 “MBK의 경영 투명성 문제로 수많은 피해자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금융당국이 적당히 처리할 경우 이러한 문제가 반복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공정거래위원장은 MBK가 한국 경제에서 누렸던 수익에 상응하는 사회적 책임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위법 행위에 대한 엄정한 제재를 약속했다. 또한, 배달의 민족과 쿠팡이츠의 할인 강요 문제도 도마에 올랐으며, 자영업자들을 위한 개선 약속이 이어졌다.

정무위원회 위원장인 주병기 위원은 대규모 자금 조달을 위한 국내 업계의 금산분리 규제 완화 필요성을 검토하겠다고 언급하며, 최근의 사회적 이슈에 대해서도 심각한 헌법적 권리 침해가 있었다고 사과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는 향후 어떤 결정을 내릴지 귀추가 주목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