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트햇 해커, DeFi 분야에서 연 수익 수백만 달러 기록…사이버보안 연봉의 10배

[email protected]



미국의 주요 화이트햇 해커들이 탈중앙 금융(DeFi) 산업에서 연 수익 수백만 달러를 벌어들이고 있으며, 이는 전통적인 사이버보안 업계 연봉의 10배에 이르는 수준이다. 전통적인 사이버보안 전문가의 연봉이 최고 30만 달러(약 4억 1,700만 원)인 반면, Web3 생태계에서 활동하는 상위 화이트햇 해커들은 연 수익이 그보다 훨씬 높은 결과를 얻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화이트햇 해커의 역할이 DeFi 생태계의 보안을 지키는 핵심 요소로 부각됨에 따라 이들의 가치가 급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뮤너파이(Immunefi)의 공동 창립자이자 CEO인 미첼 아마도르(Mitchell Amador)는 “우리 플랫폼의 상위 연구자들 중에는 연 수익이 수백만 달러에 달하는 사례가 많다”며, “이는 평균 사이버보안 연봉인 15만~30만 달러(약 2억 900만 원~4억 1,700만 원)를 훨씬 초과하는 금액”이라고 말했다.

암호화폐 분야에서 화이트햇 해커는 윤리적인 해커를 의미하며, 이들은 탈중앙화 프로토콜의 취약점을 악용하지 않고 이를 공개적으로 제보함으로써 보상을 받는다. 일반 기업의 고용된 보안 인력처럼 고정된 월급을 받는 것이 아니라, 화이트햇 해커들은 스스로 취약점을 선택하고 작업 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자율성을 지닌다. 이러한 성과 기반 급여 체계는 이들을 전통적인 사이버보안 직업보다 훨씬 더 매력적으로 만드는 요인 중 하나이다.

이뮤너파이는 현재까지 거버넌스 토큰, 스마트 계약, 프로토콜 등 여러 카테고리의 보안 취약점 조사를 수행하여 약 1억 2,000만 달러(약 1,668억 원) 이상의 보상금을 지급했다. 이 과정에서 30명 이상의 화이트햇 해커가 억만장자 반열에 올라섰으며, 이러한 숫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는 DeFi 생태계에서 보안은 사용자 신뢰를 결정짓는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이뮤너파이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화이트햇 해커들이 지속적으로 활동한다면 Web3의 보안 수준은 기존 인터넷보다 더욱 견고하게 진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변화는 DeFi 생태계의 성장을 뒷받침하며, 향후 많은 기업들이 이들 화이트햇 해커의 전략을 채택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