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에서 스마트폰 사용, 치질 위험 46% 상승 경고

[email protected]



최근 연구에 따르면, 화장실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치질에 걸릴 위험이 46%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베스 이스라엘 디커니스 의료센터의 연구진이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발표한 이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과 치질 위험 사이의 연관성을 처음으로 구체적으로 드러낸 것이라 주목받고 있다.

치질은 항문이나 직장 부위의 혈관이 부풀어 오르는 질환으로, 이를 겪는 사람들은 통증이나 출혈 등을 겪을 수 있다. 이전에도 스마트폰 사용과 치질 위험 증가에 관한 주장들이 있었지만, 이와 관련된 실제 연구는 부족했다. 이번 연구는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는 125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참가자들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신의 생활 습관 및 화장실 이용 습관을 스스로 답변하였고, 내시경 전문의들이 치질 여부를 판단했다.

조사 결과, 참가자의 약 66%가 화장실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한다고 응답했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자는 비사용자보다 상대적으로 젊은 경향을 보였으며, 활동적인 생활 습관을 가진 경우도 많았다. 연구진은 치질과 관련된 요소들인 운동 습관, 연령, 섬유질 섭취량 등을 통계적으로 보정한 뒤, 화장실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에게서 치질 위험이 46%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했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화장실에서 보내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 37%가 한 번의 화장실 방문에서 5분 이상 머물었다고 응답한 반면,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비율은 7.1%에 불과했다. 이 연구에서 가장 많이 찾아진 스마트폰 사용 활동은 뉴스 읽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이용이었다. 반면, 배변 시 힘을 주는 행위는 치질 위험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스마트폰 사용이 의도치 않게 화장실 체류 시간을 늘리고, 이에 따라 항문 조직에 압력을 가할 수 있어 결국 치질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주도한 트리샤 파스리차 박사는 “스마트폰과 현대적인 생활방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리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며, 특히 화장실이라는 특정 장소에서의 스마트폰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화장실 밖에 두고, 배변 시간은 5분 이상 넘기지 않는 것이 좋다. 만약 화장실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지면, 배변이 실제로 힘든 것인지, 아니면 스마트폰 사용으로 주의가 다른 곳으로 분산된 것인지 스스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결론적으로, 스마트폰 사용이 수반하는 현대 생활의 편리함 뒤에는 예기치 않은 건강 문제가 숨어있을 수 있음을 인지하고, 적절한 화장실 이용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