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사건으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시스템 마비…여야 공방 가열

[email protected]



지난 26일 밤 대전의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로 정부의 전산 시스템이 심각하게 마비됐다. 이로 인해 대통령실과 국무총리실은 비상 대응 체제에 돌입하고, 신속한 복구를 위해 주말 내내 긴급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2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긴급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지시했다. 특히 금융, 택배, 교통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민간과의 협력 체제 구축을 강조했다.

문제의 화재는 정부 전산 시스템을 운영하는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중단됐다. 이 대통령은 화재 발생 후 즉시 상황을 점검하고, “국민에게 화재로 인한 불편과 복구 현황을 투명하게 전달하라”고 주문했다. 또한, 근본적인 보완책인 시스템 이중화와 거버넌스 정비를 통해 유사한 사고를 예방할 것을 주문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화재 사고를 두고 “이중화 작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은 과거 정부의 책임”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예산 수립 문제도 제기했다. 윤건영 민주당 의원은 “지난 정부에서 배터리와 서버의 이중화 작업이 미비했던 점을 지적하며, 이러한 사고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반면, 국민의힘은 이재명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하며 정부의 위기 대응 능력 부실을 비판하고 있다. 이들은 “이번 사고는 총체적 무능으로 인한 인재”라며, 민간과 공공기관의 시스템 이중화 조치를 위반한 점도 들고 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화재 발생 직후 긴급 대응을 지시하며 피해 복구작업을 위한 체계적인 계획 수립을 강조했다. 그는 현장 방문 후 “국민께 사과드린다”며 총력을 다해 신속한 복구를 할 것을 다짐했다.

한편, 여야는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건 이후로도 서로의 책임을 공방하고 있으며, 행정안전부 장관 경질에 대한 요구가 나오는 가운데 대통령실은 “빠른 복구가 무엇보다 우선이다”라고 강조했다. 이 전시가 보여주는 것처럼, 대형 재난 발생 시 정치적 공방이 일어나는 모습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번 사건은 향후 정부의 디지털 정책 및 시스템 이중화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있으며, 향후 유사 사건 예방을 위한 신속한 대책 마련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