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ronfxkorea.com/wp-content/uploads/2024/09/Kr.png)
올해 들어 코스닥 상장사들의 유상증자 규모가 급증하며 주가 하락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금난에 시달리는 기업들이 자본 조달을 위해 유상증자를 빈번하게 시행하면서, 코스닥 지수는 올해만 해도 약 20% 하락하는 결과를 낳았다.
28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코스닥 상장사의 유상증자 규모는 1조6911억원에 이르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한 수치로, 실적 부진과 함께 주식 수만 늘어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이는 코스피 상장사의 유상증자가 같은 기간 39% 감소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유상증자 과정에서 주식의 가치가 희석되는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주가는 하락세를 면치 못한다. 예를 들어, 현대바이는 최근 948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발표 이후 주가가 10.7% 하락하며 연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또, 코스피 상장사인 이수페타시스도 유상증자 계획 발표 다음 날, 주가가 22% 하락한 사례가 있다.
문제는 코스닥 기업들이 유상증자에 따른 자금을 대부분 운영자금이나 채무 상환에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새로운 투자를 통한 성장보다 외형 유지에 집중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현상은 결국 주식 공급 과잉을 초래하며 시장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신영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최근 10년间 코스닥 지수는 30.2% 오른 반면, 시가총액은 149.7% 급증했으며, 이는 신규 주식의 공급이 많았음을 나타낸다. 반면, 나스닥 시장은 이 기간 동안 지수와 시가총액 모두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바 있다. 이는 주식 소각이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방증한다.
전문가들은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 조달은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지만, 현재 코스닥 시장에서는 주식 공급이 과도하게 늘어나고 있다”며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또한, 올해 3분기까지 코스닥 기업들의 누적 순이익이 전년 대비 29% 감소한 4조3075억원으로 처리된 것도 높지 않은 실적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코스닥 기업들이 유상증자를 증가시키는 배경에는 다른 자금 조달 수단이 여의치 않다는 점도 크게 작용하고 있다. 정부의 ‘스케일업금융’ 지원 사업이 축소되고 있어 중소기업들이 회사채를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기 어려워진 상황이다. 이에 따라, 올해 스케일업금융 사업 예산은 1000억원에서 내년에는 600억원으로 줄어들 예정이며, 예산 삭감이 지속되는 추세이다.
결국, 중소기업의 유동성을 높이고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예산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기업이 유상증자에 의존하지 않고도 충분한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시급하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https://ironfxkorea.com/wp-content/uploads/2024/10/IFX-BONUSES-1200X600-KR-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