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중공업이 지난 4일 서울 여의도 FKI 타워에서 ‘기술 혁신 포럼(Technology Innovation Forum)’을 개최하며, 산업계 전반의 전략적 협력과 기술 교류의 장을 마련했다. 이번 포럼은 2011년부터 효성중공업연구소 주최로 진행되어 온 행사의 일환으로, 한국전력공사, 전력거래소, 에너지기술평가원 등 100여 명의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에너지 전환과 전력망 혁신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이날 포럼은 정부의 ‘에너지고속도로’ 정책에 발맞춰 외부 전문가들과 함께 전력산업의 발전 전망을 논의하는 중요한 자리였다. 산업통상자원 R&D전략기획단의 이원용 에너지 MD는 에너지 정책의 방향성과 AI 기반 기술 적용 방안을 발표하며, 기술 융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는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정책적 기반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건국대학교 박종배 교수는 에너지고속도로 및 HVDC(고압직류송전) 추진 방향을 논의하면서, 변화하는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맞추어 전력망 설계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한전 전력연구원 심은보 원장은 전력계통의 디지털화와 유연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며, 전력거래소 최홍석 처장은 신재생 에너지 중심의 계통 운영 전략을 공유했다. 이는 국내 전력산업의 새로운 기회와 해야 할 역할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우태희 효성중공업 대표이사는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종합적인 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언급하며, “효성중공업은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투자를 통해 정부의 ‘에너지고속도로’ 구축을 선도하여 에너지 전환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효성중공업은 2017년부터 국책 과제로서 HVDC 기술 개발에 착수하였고, 지난해에는 국내 최초로 독자 기술로 200MW 전압형 HVDC 개발에 성공해 양주 변전소에 변환설비를 구축하는 성과를 달성하였다. 이외에도 변압기, 차단기, STATCOM, ESS 및 AI 기반의 전력설비 자산관리 시스템(ARMOUR) 등 다양한 전력계통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며,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력망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번 효성중공업의 기술 혁신 포럼은 에너지고속도로 정책이 진행되는 가운데, 전력산업의 미래 방향성을 모색하고 다양한 전문 지식을 교류한 의미 있는 행사로 평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