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머리, 노화 아닌 몸의 방어 반응일 가능성 제기”

[email protected]



일본 도쿄대학교 의학과학연구소가 진행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흰머리가 단순한 노화의 징후가 아니라 잠재적인 암 발생 위험을 줄이는 생체 방어 반응일 수 있다는 흥미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이 연구는 피부암의 일종인 악성 흑색종과 흰머리의 연관성을 기반으로 하여 진행되었으며, 6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셀 바이올로지(Nature Cell Biology)’에 발표되었다.

연구팀은 멜라닌 줄기세포(McSC)의 손상 반응을 생쥐 모델을 통해 관찰하였다. 멜라닌 줄기세포는 모발에 색소를 공급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있는 그대로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를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분석했다. 연구진은 자외선B(UVB)와 유사한 화학적 손상을 세포에 유도한 후 변화를 추적했다. 그 결과, 일부 줄기세포는 손상을 인식하고 정상적인 자가 재생 능력을 중단하기에 이르렀다. 이 과정에서 해당 세포들은 색소세포로 변합하고, 기능을 잃으며 사라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는 머리카락의 색 변화, 즉 흰머리의 현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흥미로운 점은, 동일한 조건에서도 일부 세포가 사라지지 않고 생존하는 사례가 발견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세포들은 시간에 따라 손상을 축적하였고, 비정상적인 분화와 분열을 통해 결국 암세포와 유사한 형태로 변화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손상된 줄기세포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으면 흑색종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팀은 흰머리가 손상된 세포를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암 발생 위험을 낮추는 자연적인 보호 메커니즘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하였다. 이 연구는 흰머리가 암 예방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손상이 지속될 경우 암 위험이 증가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작동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니시무라 교수는 흰머리와 피부암, 특히 악성 흑색종 간의 상관관계를 강조하며, 세포가 정상적으로 노화하며 적절히 제거될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했다. 또한, 안전성이나 과학적 근거가 확립되지 않은 시술이나 외용제 사용이 위험할 수 있다는 경고도 함께 전했다. 전문의들은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한 보다 신뢰성 있는 연구와 추적 조사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흰머리가 단순한 외모의 변화가 아니라, 더욱 깊은 생물학적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제 흰머리를 대하는 시각도 바뀔 필요가 있으며, 이는 노화의 자연스러운 과정으로서 생체 방어 기전과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