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 500년 전, 에스토니아에서 선사 시대 소녀의 껌 발견

[email protected]



에스토니아에서 한 선사 시대 10대 소녀가 씹었던 껌 조각이 발견됐다. 이 발견은 에스토니아 타르투대학교 역사·고고학 연구소에서 진행한 연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 연구팀은 자작나무 타르(역청)에서 치아 자국과 타액의 흔적을 발견하고, 이로부터 DNA를 추출해 분석했다. 연구 결과 밝혀진 바에 따르면, 해당 껌을 씹은 소녀는 갈색 머리와 갈색 눈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전통적으로 북유럽인들이 금발 머리와 파란 눈을 가졌다는 기존 가설에 도전하는 중요한 발견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 채널4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베타니 휴스의 세계의 보물들’의 한 에피소드에서 소개되었다. 진행자인 베타니 휴스는 이번 연구가 과거 사람들과 현대인 간의 연결을 보여주며, 껌을 씹는 행위가 치통을 완화하거나 접착제로 사용되었음을 알게 해준다고 강조했다. 이로 인해 고대 북유럽인들의 생김새에 대한 고정관념이 깨지는 계기가 되었음을 덧붙였다.

더불어, 해당 다큐멘터리에서는 타르투대에서 분석 중인 다른 유물들도 소개되었다. 연구진은 800년 된 금속 십자가를 통해 중세 에스토니아인들이 이교도의 다산 기호를 새로운 기독교 신앙과 통합하는 과정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 유물의 착용 시 소리가 난다는 점을 주목했다. 하이키 발크 교수는 이 십자가가 당시 문화의 복잡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언급하였다.

또한, 에스토니아의 쿠크루스 마을 12세기 묘지에서 발견된 여성 해골에 대한 조사도 이루어졌으며, 이 여성은 사망 당시 50대였고, 묘지에서는 다양한 장신구와 음식, 특히 수정된 달걀 등이 함께 매장되어 있었다. 고고학자 에스터 오라스 박사는, 이 여성을 추모하며 수정과 관련된 기독교의 상징성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을 제시했다.

이번 발견은 1만 500년 전 에스토니아의 선사 시대 생활 모습과 당시 사람들의 문화적 관습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단순한 유물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현대인과 과거의 세계에서 공통된 삶의 단면을 보여주는 만큼, 앞으로의 연구와 분석이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