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만 트레이더 청산…레버리지 충격에 암호화폐 시장 출렁

[email protected]



암호화폐 시장이 역대급 폭락을 겪으며 레버리지 기반의 상승장이 종말을 맞이할 위기에 직면했다. 최근 단 하루 동안 전 세계에서 19만 3,000명 이상의 트레이더들의 레버리지 포지션이 청산되었으며, 이들로 인한 총 손실 규모는 약 8억 9,100만 달러(약 1조 2,370억 원)에 달한다. 이로 인해 주요 암호화폐 가격이 급락하며 투자자들의 심리가 크게 위축되고 있다.

시장 분석 플랫폼인 코인글래스(CoinGlass)에 따르면, 이번 청산 사건의 주요 원인은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비트코인에서 발생한 청산 피해는 약 2억 7,500만 달러(약 3,820억 원), 이더리움의 경우 2억 9,000만 달러(약 4,030억 원)로, 이들 두 코인이 시장 전체의 하락세를 주도하고 있다. 솔라나(SOL), 도지코인(DOGE), XRP 등 다른 코인들도 연이어 대규모 손실을 기록하며 추가 청산을 가속화했다.

이번 폭락은 특히 ‘롱 포지션’에 있는 트레이더들에게 집중적인 피해를 안겼다. 하루 동안 청산된 롱 포지션의 총 규모는 7억 5,700만 달러(약 1조 520억 원)에 달하며, 이에 비해 숏 포지션에서 발생한 손실은 1억 1,600만 달러(약 1,610억 원)에 그쳤다. 이는 상승장에 대한 과도한 기대감으로 레버리지 거래에 나섰던 트레이더들이 예상치 못한 시장 반락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었음을 보여준다.

비트코인의 기술적 지표도 우려를 키우고 있다. 비트코인은 최근 두 차례에 걸쳐 12만 2,000달러(약 1억 6,960만 원) 저항선에 도전했으나, 이를 돌파하지 못하고 조정 국면에 들어갔다. 현재 비트코인은 11만 달러(약 1억 5,290만 원) 초반에 위치하고 있으며, 100일 이동평균선 근처에서 균형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만약 추가 하락이 지속되어 10만 8,000달러(약 1억 5,010만 원)~11만 달러 지지선이 무너지면, 20일 및 50일 이동평균선도 하향 돌파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상대강도지수(RSI) 지표는 현재 과매도 구간에 근접해 있어 단기적인 반등 가능성은 존재하지만, 전반적인 시장 흐름은 여전히 불안정하다. 투자자 심리 회복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과도한 레버리지로 인한 변동성이 시장에 심각한 리스크를 부여하고 있다. 이번 청산 사태는 그러한 리스크의 경고음을 강하게 울리고 있다.

앞으로의 시장 방향성은 비트코인이 11만 달러선을 안정적으로 방어하고, 11만 5,000달러(약 1억 5,990만 원)로의 빠른 회복이 가능하느냐에 달려 있다. 반등에 실패하고 하방 압력이 더욱 커질 경우, 암호화폐 시장 전체가 또 한 번 깊은 조정 국면으로 접어들 수 있다. 결국, 리스크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레버리지 투자 방식이 이번 급락의 핵심 원인으로 지적되며, 향후 현물 수요의 회복 여부는 상승장 재개를 가를 중요한 기점이 될 전망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