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조작 우려가 역대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시바이누(SHIB)의 마케팅 책임자 루시(Lucie)는 최근 자신의 소셜 미디어에 “올해의 시장 움직임은 자연스럽지 않다”며 과도한 정치적 영향력과 기관 자금의 유입이 이러한 조작을 야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루시는 비트코인(BTC)과 같은 주요 암호화폐를 포함해 밈코인 시장에서도 조정된 거래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고래라고 불리는 대형 투자자들의 인위적인 가격 조작이 빈번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상황은 소규모 개인 투자자들에게 심각한 피해를 입히며, 이들은 고점에서 매수한 뒤 손절매를 반복하다가 큰 손해를 보게 되는 악순환에 빠져 있다.
그녀는 “기관 투자자들이 충분히 자산을 축적하고 수익을 실현할 준비가 되면 시장은 급등하게 된다. 그때 개인 투자자들은 뒤늦게 따라잡으려다 손해를 보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는 고래들이 시장 하락 시 대량으로 자산을 매집한 후 가격이 일정 수준으로 반등했을 때 이익을 실현하며 소액 투자자들을 시장에서 몰아내는 구조를 가리킨다.
이와 같은 주장은 실제 온체인 데이터에서도 확인된다. 지난 8월 15일, 미국의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기관용 지갑에서 약 3조 개의 시바이누(SHIB)가 단일 개인 지갑으로 이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거래의 가치가 약 3,824만 4,783달러(약 531억 6,000만 원)에 이르렀으며, 이는 최근 몇 주 동안 이더리움(ETH) 블록체인에서 가장 큰 SHIB 이동 중 하나로 기록되고 있다.
2025년 들어 고래 계정의 매집 활동이 유독 눈에 띄면서, 소액 투자자들의 심리적 불안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루시는 “이럴 때일수록 자신의 포지션을 견지하고 흔들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며 장기적 관점에서의 투자 전략을 강조했다.
현재 시바이누는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24시간 기준으로 1.2% 하락해 현재 가격은 0.00001231달러(약 0.017원)이다. 시장 전반의 약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루시의 경고는 올해 암호화폐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 ‘신중한 투자’의 필요성을 더욱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