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업계의 채용 시장이 급변하고 있습니다. 벤처캐피털 드래곤플라이 캐피털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동안 신입 인재가 일자리를 찾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암호화폐 채용 포지션 중 신입 인재를 대상으로 하는 비율은 겨우 10%에 불과하며, 숙련된 인력을 우선시하는 채용 기조가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2024년 말부터 2025년 1분기까지 85개 암호화폐 기업의 채용 데이터와 약 3,400건의 지원자 및 재직자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드래곤플라이 측은 이러한 현상이 최근 다수의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실패로 인해 업계 전반에서 경력직에 대한 선호가 높아진 결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채용 포지션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시니어 및 프린시펄(최상위급) 레벨의 역할로, 전체의 37%를 기록했습니다. 업무 분야별로 살펴보면, 엔지니어링 분야가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전체 인력의 약 67%에 달하고 있습니다. 이는 블록체인 개발 및 인프라 유지에 대한 수요가 견고함을 시사합니다.
드래곤플라이는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의 친암호화폐 정책 기조에도 불구하고, 업계는 여전히 신중한 채용 전략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2025년 상반기에는 전반적으로 채용 규모가 줄어들면서 ‘넷 하이어링'(총 채용 규모 대비 퇴사 인력이 더 많은 상황)이 마이너스로 돌아섰습니다.
특히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월에는 고용 상승세가 두드러졌으나, 2월에는 미국의 관세 정책에 따른 충격 이후 3월에는 대규모 인력 감축이 이어지는 변동성이 있었던 것으로 평가됩니다. 드래곤플라이 측은 “긍정적인 시장 심리와 활황장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은 구조조정 이후 인력 재편에 더 많은 에너지를 쏟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결국 암호화폐 업계는 채용의 질적 고도화를 통해 리스크를 줄이고 실무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중심의 구조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이는 단기적으로 신입 인재의 진입 장벽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산업의 기반을 더욱 견고히 하는 조치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암호화폐 채용 시장의 변화는 기업과 신입 인재 모두에게 중요한 도전 과제가 되고 있으며, 향후 시장 상황에 따라 더 많은 변화가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