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지방선거 후보, 디지털자산을 통한 후원금 모금 가능성 탐색

[email protected]



2026년 지방선거 후보자들은 디지털 자산을 활용해 정치 후원금을 모을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국제디지털자산위원회(IDAC)는 ‘정치후원금 디지털자산으로!’ 캠페인을 시작하며, 이 캠페인은 정치후원금에 대한 유권자의 관심을 높이고, 모금 방법을 다각화하며, 디지털자산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확산시키고, 새로운 활용 모델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IDAC는 기획재정부의 지정 공익단체로서, 건전한 디지털 자산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사회 공헌, 문화예술, 교육 및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 자산의 확산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지난 6월 13일 국회 세미나에서 디지털자산을 활용한 정치후원금의 모금 가능성을 확인하며 관심을 집중시켰다.

캠페인 참여를 원하는 사람들은 캠페인 문구와 함께 사진을 찍어 SNS에 올리는 인증샷 이벤트에 참여하거나, 캠페인 참가 신청서를 작성함으로써 쉽게 참여할 수 있다. IDAC는 많은 일반인이 참여하는 대중 캠페인으로서, 참여자들을 확보한 후 관계 기관에 디지털자산 모금의 효율성을 입증하고, 정치후원금 모금을 위한 시행령 마련을 요청할 계획이다.

캠페인에 첫 지지를 보낸 민병덕 의원은 디지털자산기본법을 발의한 주인공으로, “현재 추진 중인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여러 사회 분야와 연계되어 새로운 변화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정치후원금 모금에 혁신적인 서비스와 장점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IDAC의 원은석 이사장은 “이번 캠페인을 통해 디지털 자산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확장하고, 구체적인 활용 모델을 만들 것”이라며, 정치권과 사회 여러 분야의 참여를 유도하여 디지털 자산 기반의 후원금 모금이 일상의 활동으로 자리 잡도록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2026년 지방선거에서 디지털자산 모금의 도입 가능성에 대해 IDAC는 금융위원회의 조치를 주목하고 있다. 금융위가 비영리법인에 대해 디지털 자산 모금을 허용한 만큼, 정치후원금도 제도적 투명성을 김치며 충분한 감시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자산 모금이 가능하며, 가격 변동성 문제는 스테이블코인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시된다.

따라서 2026년 지방선거 후보자들은 디지털자산을 활용하여 후원금을 모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정치 후원금 모금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져올 수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