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근무한 은행원이 AI 도입 후 해고…경영진의 오판 드러나

[email protected]



호주 커먼웰스 은행에서 25년 동안 근무한 직원 캐서린 설리번(63)이 지난 7월, 갑작스러운 해고 통보를 받으며 큰 충격에 빠졌다. 은행의 경영 상황은 양호했지만, AI 챗봇 도입과 관련한 인력 감축이 불거진 것이다. 설리번은 자신이 훈련시키던 AI 챗봇이 결국 자신의 업무를 대체하게 될 것이라고는 상상조차 하지 못했다.

은행의 해고 결정 이후, 설리번은 “동료들과 함께 큰 충격을 받았다. 우리가 그저 숫자에 불과한 것처럼 느껴졌다.”고 회상했다. 사실 은행은 해고된 직원을 포함해 45개의 직무가 불필요하다고 판단했으나, 그 결정은 경영진의 오판으로 판명되었다. 이전 회계 연도에 커먼웰스 은행은 무려 102억 5000만 호주 달러, 한화로 약 9조 3000억 원에 달하는 수익을 기록한 바 있다. 이러한 성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AI 도입으로 불거진 해고 사건은 동료들에게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

설리번의 마지막 업무 중 하나는 AI 챗봇의 답변을 작성하고 테스트하는 일이었지만, 그가 자신이 훈련시키던 AI가 결국 자신의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라고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고 한다. 은행 측은 이후 해고 결정이 잘못된 판단이었음을 인정하고, 피해를 입은 직원들에게 복직을 제안했다. 하지만 설리번은 복직 제안을 거절하고 퇴직을 선택했다. 그는 제안된 직무가 기존 업무와 크게 다르고 고용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이 사건이 알려지면서 호주 중앙은행 총재 미셸 불록은 AI로 인해 영향을 받는 노동자들을 위해 기업들이 더 많은 교육과 훈련을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목소리는 AI 도입이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경시해서는 안 된다는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커먼웰스 은행은 AI 도입을 지속할 계획이다. 최근 은행의 최고경영자는 오픈 AI와의 파트너십을 발표하며 AI를 활용한 금융 범죄 및 사기 문제 해결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런 기술적 진보가 인력 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은 명백해 보인다.

이런 일련의 사건들은 AI의 도입이 업무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앞으로도 계속적인 논의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