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4월 소매 판매 성장률이 전년 대비 5.1% 상승했으나, 이는 분석가들이 예상한 5.5%를 밑도는 수치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세계 제2의 경제 대국인 중국의 소비에 대한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3월에는 소매 판매가 5.9% 증가한 바 있다.
산업 생산량은 4월에 전년 대비 6.1% 증가해 분석가들의 예상치인 5.5%를 초과했지만, 3월에 비해서는 하락세를 보였다. 이는 미국의 관세 영향에 대한 우려가 예상보다 덜 심각할 것임을 시사한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외부 환경에 많은 불확실성과 불안정 요소가 여전히 존재함을 인식해야 한다”면서 “지속적인 경제 회복을 위한 기반이 추가적으로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올해 첫 4개월 동안의 고정 자산 투자 증가율은 4.0%로, 애초 예상한 4.2% 성장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부동산 부문에서의 하락세가 두드러져, 고정 자산 투자 내에서 부동산 부문은 10.3% 감소했다. 하지만, 4월의 도시 실업률은 5.1%로, 3월의 5.2%에서 소폭 개선되었다. 이러한 개선이 U-중국 무역 전쟁으로 인한 대량의 일자리 손실 경고와 연결된 시점에 이루어진 것은 주목할 만한 점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월부터 중국 제품에 145%의 관세를 부과했으며, 중국은 이에 대해 미국 제품에 125%의 관세로 반격했다. 그러나 최근 스위스에서 열린 미중 무역 대표 간 회의의 긍정적인 결과에 따라 양국은 관세 인하에 합의했고, 이는 국면을 완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무역 휴전은 글로벌 투자은행들이 중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게 만들었고, 보다 적극적인 경기 부양 조치에 대한 기대는 줄어들고 있다. 중국 정부는 소비 진작을 위한 각종 자극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무역 긴장이 완화된 가운데 국산 기업과 고용을 поддерж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4월 중국의 수출이 예상보다 급증한 것도 눈여겨볼 만하다. 동남아시아 국가로의 선적 증가가 미국으로의 출구가 급감한 부분을 상쇄했고, 이는 4월 한 달 동안 미국행 수출이 전년 대비 21% 감소한 것과 대비된다. 고빈도 지표는 최근 관세 휴전 이후 컨테이너 예약이 급증하였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평균 예약량은 5월 5일 주말 이후 277% 증가했다.
OCBC 은행의 아시아 거시경제 연구 책임자 톰미 시에에 따르면, 중국의 경제 성장은 두 분기 연속 5%를 초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러한 경제 지표들이 나타나자,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주요 정책 금리를 인하할 예정이다. 이러한 정책 변화는 경기 회복의 기반을 더욱 확실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