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 연구진의 발표에 따르면, 인간의 노화 과정은 평균적으로 50세 전후에서 급격히 진행되며, 이 시점에서 특히 혈관 조직이 가장 먼저 노화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50년에 걸쳐 진행된 장기별 단백질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며, 혈관의 노화가 전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중국과학원 산하 생물정보센터 및 베이징유전체학연구소의 연구팀은 13개 인체 조직에서 516개 샘플을 수집하여 단백질 및 조직의 정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노화 지도’를 제시하고, 노화가 인체 내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진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유전자 발현(mRNA)과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이 느슨해지고, 단백질 가공 및 분해 과정에서의 오류가 증가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아밀로이드와 같은 비정상 단백질이 체내에 축적됨에 따라 단백질의 항상성 유지 기능이 저하되는 측면도 발견되었다. 또한 각 장기에서 나타나는 단백질 패턴을 바탕으로 ‘노화 시계’를 개발하여, 노화의 시작이 평균 50세 전후임을 입증하였다. 이는 노화 연구에 있어 중요한 기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연구에 따르면, 혈관 조직은 노화가 시작되는 첫 번째 조직으로, 이로 인해 혈관의 건강이 deteriorate되며, 이는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노화에 따라 확인된 특정 단백질, 예를 들어 GAS6 등의 단백질은 혈관 및 전신 노화의 촉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연구진은 강조했다. 이러한 단백질들은 ‘노화 단백질'(senoproteins)로 정의되며, 이들이 장기 간에 노화 신호를 주고받는 데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 결과는 노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 단백질 관점에서의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하며, 향후 노화 관련 질병 예방 및 치료 방법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진은 이러한 발견이 인간 노화의 기초적인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토대를 제공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