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 중 태어난 사랑 이야기, 해외 누리꾼들의 깊은 관심

[email protected]



6·25 전쟁 중 한 미군과 북한 출신 여성의 사랑 이야기가 글로벌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을 통해 공개되며 많은 이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최근 레딧 한국 토픽 게시판에는 ‘1952~1953년의 할머니, 할아버지와 아버지’라는 제목으로 A씨가 게시한 글이 큰 화제를 모았다. A씨는 할머니가 북한 출신으로, 전쟁 중 고향이 폭격을 당해 월남한 후 미군의 군부대 간호사로 취직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게시글에 첨부된 흑백 사진에서는 군복을 입은 미군 남성과 전통 한복을 입은 한국 여성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남성은 아들로 보이는 어린 아이를 품에 안고 있으며, 그의 외투에는 미 육군 제8군 마크가 부착되어 있다. 제8군은 6·25 전쟁 당시 인천 상륙 작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고, 현재도 많은 부대가 주한미군으로 주둔하고 있다.

해당 사진들은 이 커플이 전후 독일과 한국을 거쳐 미국으로 돌아간 과정을 담고 있다. 게시물에는 할아버지가 면도 크림을 묻히고 웃고 있는 모습, 첫 돌 잔치에서 아들을 바라보는 할머니의 모습, 그리고 장총을 들고 사격 자세를 취하는 할머니의 사진이 포함되어 있다. A씨는 사격 중 사진 속에 있는 소년이 자신의 아버지라고 설명했다.

A씨에 따르면, 할머니가 20세, 할아버지가 26세였던 그 시절, 두 사람은 서로에 대한 깊은 사랑으로 결혼 생활을 이어가며, 할머니는 할아버지의 부탁을 항상 들어주었다고 회상했다. 할머니는 미역국을 끓이거나 손주를 돌보는 사랑 가득한 할머니의 모습을 보여줬으며, 이러한 따뜻한 가족의 이야기는 역사적으로도 큰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A씨는 해당 게시물이 예상보다 큰 인기를 끌자 사생활 침해에 대한 스트레스를 느끼며 게시글을 삭제하게 되었다. 그는 “조부모님의 따뜻한 마음이 기억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 이야기를 접한 누리꾼들은 그 커플의 사랑을 칭송하며, “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는 가족이다”, “내가 본 가장 아름다운 커플 중 하나다”, “전쟁이라는 격동의 시대에도 서로 다른 문화의 사람들이 사랑을 했다니 감동적이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반응들은 전 세계 사람들에게 당시의 아픈 역사 속에서도 사랑이 존재했음을 알리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