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3일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 열병식 참석 소식을 중심으로 보도하며, 이번 방중에 대해 적극적으로 알렸다. 보도에 따르면, 신문은 총 6면 중 1~3면을 방중 소식으로 가득 채워 김 위원장의 외교 행보를 강조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베이징 톈안먼 망루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 세계 강대국 정상들과 함께 손을 맞잡고 환담하는 모습으로 사진이 상단에 배치됐다. 이는 북·중·러 정상이 한 자리에 모인 것이 1959년 김일성·마오쩌둥·흐루쇼프 회동 이후 66년 만이라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신문 1면에는 김 위원장이 시 주석과 두 손을 맞잡고 웃고 있는 모습, 그리고 시 주석의 배우자인 펑리위안 여사와 인사를 나누는 장면이 실려 있어, 한때 악화됐던 중국과 북한의 관계 회복을 상징적으로 드러냈다.
2면에서는 글 없이 사진으로만 다양한 장면을 담았는데, 이는 김 위원장이 망루에 오르기 전 20여 명의 외국 정상들과 레드카펫을 걷며 담소를 나누는 모습이 주를 이루었다. 이는 김 위원장의 첫 다자외교 데뷔전이 성공적이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3면에서는 김 위원장이 시 주석이 주관한 리셉션에 참석한 모습과 북러 정상회담 소식을 전했다. 특히 김 위원장이 푸틴 대통령의 전용 리무진인 ‘아우루스’에 동승해 환담을 나누는 사진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러시아 매체들이 보도하지 않았던 내용으로, 두 정상 간의 긴밀한 관계를 드러내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은 전날 전승절 연회 후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2시간 30분간 양자회담을 진행하며 깊이 있는 논의를 나눈 것으로 보인다. 사진 속에는 두 사람이 서로를 껴안으며 활짝 웃고 있는 장면이 담겨 있어, 친밀한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번 방중으로 북한은 경제적 지원과 외교적 연대 강화를 모색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의 제재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을 마련하고자 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반적으로 노동신문의 보도는 북한이 중국 및 러시아와의 관계를 공고히 하고 있는 모습을 대내외에 알리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이와 함께 김 위원장이 참석한 이번 행사에서는 우원식 국회의장이 단체 사진 속 일부로만 등장하면서, 그 외에도 북한 내 정치적 상황에서의 외교적 입지를 더욱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카드가 필요하다는 불안한 기색도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