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간 활동을 하지 않던 비트코인(BTC) 고래가 7년 만에 대규모 거래를 재개하며, 보유 자산을 전량 이더리움(ETH)으로 전환한 사실이 알려져 시장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이번 거래는 단순한 수익 실현이 아닌, 투자 전략의 근본적인 변화를 암시하는 사례로 여겨진다.
시장 분석 플랫폼 룩온체인(Lookonchain)에 따르면, 2018년 이후 무활동을 이어오던 한 비트코인 지갑이 최근 갑자기 거래를 시작했다. 이 지갑은 과거 100,784 BTC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는 현재 시세로 약 8조 9,408억 원(642,000,000달러)에 해당하는 규모였다. 고래는 이 자산을 전량 매도한 후, 약 3,711억 원에 해당하는 62,914 ETH를 구매하였다. 더불어, 총 135,265 ETH 규모의 롱포지션을 개설하여 이더리움에 대한 투자 비중을 대폭 높였다.
이와 같은 움직임은 단독 사례가 아니었다. 추가적으로 2018년부터 활동을 중단했던 다른 지갑도 최근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거래소에서 비트코인을 매도하고 ETH를 매입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지갑은 85,947 BTC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현재 시세로 약 7조 4,391억 원(547,000,000달러)에 해당하는 자산을 가지고 있다. 룩온체인은 이 두 지갑이 같은 주체의 것일 가능성도 제기하였다.
장기 보유자들이 비트코인을 처분하고 이더리움으로 갈아타는 현상은 최근 ETH에 대한 투자자 신뢰의 급증을 반영하고 있다. 실제로 이더리움은 2025년 들어 60%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강세장을 이끌고 있다. 현재 이더리움의 가격은 약 4,300달러(약 597만 원)로, 최근 고점이었던 4,700달러(약 653만 원)와 비교해 8.5% 하락한 상태이다.
기관투자자들의 움직임도 이더리움 강세에 기여하고 있다. 예를 들어, 톰 리(Tom Lee)가 운영하는 비트마인(BitMine)의 ETH 트레저리는 약 1.5백만 개 이상의 ETH를 보유하고 있으며, 블랙록($BLK)의 iShares 이더리움 트러스트 ETF는 3.54백만 개 이상의 ETH를 관리하고 있다. 이들 이더리움 기반 트레저리 및 ETF에서 관리하는 ETH 총액은 약 44조 5,600억 원(44,000,000,000달러)에 달하며, 이는 전체 유통량의 9%를 차지한다고 분석된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이익 실현이 아닌, 장기 투자자들 또한 시장의 패러다임 변화에 맞춰 자산 구성을 조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더리움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내에서 독립적인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했으며, 비트코인을 단순한 저장 수단이나 가치 보존 자산으로만 여겨지던 시선이 변화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비트코인의 오랜 지지자들까지 ETH로 전략을 전환하는 현재의 움직임은 두 자산 간의 위상 경쟁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더리움의 성장세가 지속된다면, 향후 디지털 자산 시장 내의 주도권이 또 다른 방식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