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한 달 동안 암호화폐 프로젝트에 총 26억 7천만 달러(약 3조 7,113억 원)의 투자금이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올해 2분기 전체 투자 유치액의 85%에 해당하며, 월간 기준으로는 역대 두 번째로 많은 금액이다. 특히, 최근 펌프펀(Pump.fun)과 스테이블코인 인프라에 대한 투자 수요가 급증한 것이 이번 성과의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암호화폐 전문 분석 플랫폼인 디파이라마(DeFiLlama)에 따르면, 7월에 집계된 투자 규모는 전월 대비 6% 증가한 결과로, 6월에 기록한 25억 달러(약 3조 4,750억 원)를 소폭 초과한 것이다. 올해 들어 3월에 기록한 35억 달러(약 4조 8,650억 원)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수준이다.
이번 투자 열풍에서 두드러진 분야는 ‘투자(Investments)’ 카테고리였다. 이 부문에선 총 5억 1,200만 달러(약 7,115억 원)가 유입되었으며, 비트마인(BitMine)이 2억 5,000만 달러(약 3,475억 원)를 독자적으로 확보해 이더리움(ETH) 자산 확보를 위한 자금을 모집하였다. 이어서 Upexi는 솔라나(SOL)를 추가하기 위해 2억 달러(약 2,780억 원)를 확보하며 시장에서 주목받았다. 이 두 기업으로 인해 전체 투자 항목의 88%가 집중되며 시장 흐름을 주도하게 되었다.
스테이블코인 사업 분야 역시 활기를 띠었다. 이번 달 총 3억 5,250만 달러(약 4,903억 원)가 이 분야에 집중되어, 특히 홍콩에 본사를 둔 OSL 그룹이 글로벌 확장을 위해 3억 달러(약 4,170억 원)를 조달하여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었다. 같은 지역의 RD 테크놀로지스(RD Technologies) 또한 스테이블코인 발행 및 유통 관련 규제를 준수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4,000만 달러(약 556억 원)를 유치하였다.
디파이(DeFi) 분야에서도 적극적인 투자와 프로젝트 수가 증가하고 있다. 펌프펀에 대한 투자가 이어지는 가운데, 여러 디파이 개발 프로젝트가 총 1억 700만 달러(약 1,487억 원)를 조달하며 생태계 확대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CLOB(중앙한계주문장)를 개발하는 Kuru는 1,160만 달러(약 161억 원)를 모집하였고, GPU 수익을 토큰화하려는 GAIB와 과잉담보형 스테이블코인 구축을 목표로 하는 Falcon Finance도 각각 1,000만 달러(약 139억 원)를 확보하였다.
인프라 부문에서도 지속적인 성장은 뚜렷하다. Bitzero는 채굴 사업 확장을 위해 2,500만 달러(약 347억 원)를 시리즈 B 라운드에서 모았고, xTAO는 비텐서(Bittensor) 생태계 지원을 위해 추가로 2,280만 달러(약 317억 원)를 확보했다. 친환경 비트코인(BTC) 채굴 확대를 목표로 하는 Soluna도 2,000만 달러(약 278억 원)의 투자금을 받았다.
7월에는 눈에 띄는 단일 스타트업의 성과 못지않게 다수의 분야에서 고르게 투자금이 분배된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이 특정 트렌드에 좌우되지 않고 생태계 전반의 성장 기반을 조성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펌프펀과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중심의 이번 투자 흐름은 다가오는 크립토 시장 재도약의 전조로 해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