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발 7000m 이상의 고산지대에서 한 러시아 여성이 골절로 고립된 사건의 구조 작업이 극심한 악천후와 불운으로 인해 열흘 만에 중단됐다. 23일(현지시간) 영국의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러시아의 등반가 나탈리아 나고비치나는 지난 12일 키르기스스탄의 빅토리 봉에서 조난 사고를 겪었으며, 구조 작업 중에 사상자가 발생하며 공식적으로 구조가 중단되었다고 보도되었다.
나고비치나는 해발 7439m의 빅토리 봉에서 다리를 다친 후 7200m 지점에서 더 이상 움직일 수 없게 되었다. 함께 등반하던 동료는 그녀를 구하기 위해 즉시 산 아래로 내려가 구조 요청을 했다. 구조 작업이 시작되었으나, 기상 여건은 매우 열악했다. 구조대가 출동했을 당시 기온은 영하 23도 이하로 떨어졌고, 강한 눈보라가 몰아쳐 구조 작업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 과정에서 이탈리아 등반가 루카 시니갈리아는 나고비치나에게 접근하여 침낭, 텐트, 식량, 물 등을 전달하며 구조의 희망을 보였다. 그러나 헬기를 이용한 구조 시도는 모두 실패로 돌아갔고, 특히 구조 작업을 담당하던 시니갈리아는 저산소증과 저체온증으로 사망하는 안타까운 결과를 초래했다. 또한, 헬리콥터가 구조 작업 중에 파손되어 조종사 포함 4명이 부상을 당하는 추가적인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구조대는 나고비치나가 있는 지점에서 불과 1km 떨어진 곳까지 접근했지만, 혹독한 날씨로 인해 더 이상 진행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키르기스스탄 비상사태부는 구조 작업을 공식적으로 중단하였으며, 사흘 전 드론을 통해 나고비치나가 움직이는 모습이 포착되었지만, 이제 그녀의 생존 가능성은 극히 낮은 상태로 평가되고 있다. 구조대장 드미트리 그레코프는 “이 지역에서 구조된 사람은 역사상 아무도 없다”고 언급하며, 연간 80명 이상의 등반가가 이 지역에서 목숨을 잃었다고 전했다.
이 사건은 고산 등반의 위험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며, 구조 작업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tragic한 사례가 되었다. 기상 변화가 극단적인 고산지대에서의 생존 가능성과 구조의 성공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상기시킬 필요가 있다. 이 사건은 고산 탐험의 매력과 동시에 그에 따르는 위험을 함께 보여주는 교훈적인 사례로 남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