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의 약세장 우려 속 미장·국장 대응 전략 엇갈려

[email protected]



매년 9월은 통계적으로 약세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올해도 이 패턴이 반복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9월 첫 거래일부터 뉴욕 증시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이른바 ‘9월 효과(September Effect)’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 2일(현지시간) S&P500과 나스닥은 각각 0.69%와 0.82%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증대시켰다. 반면,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면서 뉴욕 상품거래소에서 금값은 온스당 3592.20달러로 마감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9월 효과란 일반적으로 해당 월에 미국 증시가 다른 월에 비해 큰 폭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이 현상은 주로 미국 연방정부의 회계연도가 10월 1일부터 시작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9월은 회계연도가 끝나는 시점으로, 정부 기관과 연기금, 헤지펀드 등이 투자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면서 주식 등 위험 자산 비중을 축소하고 현금 비중을 확대하는 경향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자료에 따르면 S&P500은 2011년에서 2024년까지 평균적으로 9월에 1.6% 하락했으며, 이후 10월과 11월에는 기업 실적 개선과 연말 소비 시즌에 대한 기대감으로 오름세로 돌아서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 증시 역시 반도체와 2차전지 등 수출 중심 기업 비중이 클수록 9월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한국거래소 통계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코스피는 9월에 평균 1.5% 하락했다. 특히 2022년(-12.8%), 2023년(-3.6%), 2024년(-3.0%)에는 더 두드러진 약세 흐름을 보이고 있다.

가상화폐 시장에서도 비슷한 패턴이 관찰된다. 비트코인은 2011년부터 2024년 사이에 9월에 평균 4.7%의 하락률을 보이며 여전히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와 같이 이런 예측이 빗나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24년에는 9월 한 달 동안 S&P500 지수가 2.46% 상승하여 2022년(-9.34%)과 2023년(-5.35%)과는 반대의 흐름을 보였다.

국내외 금융투자업계의 의견은 9월의 약세장이 나타날지 엇갈리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미국 증시가 관세 사법 리스크와 연방준비제도(FED) 독립성에 대한 우려로 약세장을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특히 최근 미국 항소법원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상호관세를 위헌으로 판결한 상태에서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다.

반면,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하가 이루어질 것이라는 기대감도 존재한다. 마이크 윌슨 모건스탠리 전략가는 “9월의 조정은 매수 기회”라며 “약세와 변동성 속에서도 낙관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조언을 했다.

국내 증시의 경우, 계절적 약세 외에도 최근 3~4분기 기업 실적 전망이 우울해지고 있다. 2025년 코스피 기업의 순이익 전망이 연초 216조원에서 현재 203조원으로 하향 조정되고 있으며, 증권가에서도 실적 전망치를 줄이어 하향하고 있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9월은 잭슨홀, 추석 등으로 시장 대응이 어렵다”며 “모멘텀이 있는 업종 위주로 선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가상화폐 시장에서는 하락세가 일시적일 것이라는 무게감도 있다. 양현경 iM증권 연구원은 “비트코인의 해시레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