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대비 2.1% 상승하면서, 두 달 만에 다시 2%대를 기록했다. 이는 가공식품, 축산물, 그리고 수산물 등 먹거리 물가의 영향으로 나타난 결과다. 국가데이터처는 10월 2일, ‘9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발표하며 이러한 사실을 알렸다. 9월의 소비자 물가지수는 117.06으로, 기준 연도인 2020년 대비 상승 폭이 눈에 띄게 증가한 것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6월과 7월 동안 2%대를 기록했으나, 8월에는 SK텔레콤의 해킹 사건으로 인해 요금 인하 효과가 미진하여 1.7%로 감소했다. 9월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은 특히 가공식품에서 두드러진 모습을 보였다. 가공식품 물가는 4.2% 상승하며 전체 물가를 0.36%포인트 포인트 증가시켰다. 특히 빵의 가격은 6.5%, 커피는 무려 15.6%나 상승하여 소비자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더 나아가, 축산물과 수산물 가격 역시 각각 5.4%, 6.4% 상승하며 물가 상승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일상 생활 물가에 더욱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생활물가지수는 2.5% 상승했다. 이는 전달인 8월의 1.5% 상승에 비해 상승폭이 크게 확대된 수치를 나타낸다.
현재 먹거리 물가의 지속적인 상승은 소비자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부와 관련 기관들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모색하고 있지만, 단기적인 방안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복합적인 문제임이 명확하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물가 상승이 지속될 경우, 소비자 신뢰도와 소비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특히, 일부 식자재의 가격 상승은 외식비용에까지 연결되어 가정경제에 더 큰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가계의 소비 패턴에도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소비자물가 상승은 단순히 통계상의 숫자에 그치지 않고, 실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향후 정부의 대응과 기업의 가격 정책이 더욱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