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BC의 짐 크래머는 금요일 투자자들에게 딥시크가 엔비디아의 매출에 미치는 위협이 이번 주 많은 투자자들이 우려했던 것만큼 심각하지 않을 수 있다고 전했다. 그는 중국 인공지능 스타트업인 딥시크가 자사의 대형 언어 모델에 대해 월스트리트에 완전한 이야기를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크래머는 “딥시크가 엔비디아의 가격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대체 우주인 것일까? 무엇이든 가능하지만, 내가 생각하기에 이런 식으로 이 훌륭한 주식의 가격을 떨어뜨릴 가장 가혹한 방법을 설계해야 한다면, 딥시크와 같은 것을 invent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주 초, 투자자들은 딥시크가 600만 달러의 비용으로 개발한 AI 모델을 발표하면서 깜짝 놀랐다. 이는 동종 업계에 있는 다른 기업들이 그러한 프로그램 개발에 지출하는 비용에 비해 상당히 적은금액이다. 딥시크는 이 모델이 업계의 인기 모델인 오픈AI 모델보다 성능이 뛰어나다고 주장했다. 월스트리트는 이에 따라 빅테크 기업들이 엔비디아의 고급 칩에 그만큼 많은 비용을 지출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는 결론에 이르렀고, 이로 인해 엔비디아의 실적이 저조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다. 결과적으로, 엔비디아의 주가는 단 하루에 6000억 달러가 증발하며 역사상 가장 큰 일일 하락 폭을 기록했다.
크래머는 만약 딥시크의 모델 개발에 실제로 얼마를 썼다면 투자자들의 반응은 논리적일 것이라고 인정했다. 하지만 그는 딥시크가 실제로는 그보다 더 많은 비용을 들였을 가능성도 있다며, 반도체 연구 및 컨설팅 회사인 세미애널리시스의 보고서를 참조했다. 이 보고서는 딥시크가 공개한 정보가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지적하며, 실제로는 5억 달러 이상을 썼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크래머는 메타, 테슬라, 오라클과 같은 기술 대기업의 경영진이 엔비디아에 그렇게 많은 투자를 했음에도 제대로 한 조사 절차를 거치지 않았을 것이라고 가족적으로 의구심을 표했다. 그는 딥시크는 비밀이 아니었으며, 이번 주에 많은 주목을 받은 것뿐이라고 덧붙였다.
“나는 세미애널리시스의 주장이 정확하다고 생각한다. 이는 단순히 엔비디아를 겨냥한 또 하나의 긴 칼날일 수도 있다”고 그는 결론지었다.
엔비디아는 이에 대한 논평을 거부했으며, 딥시크는 즉각적으로 해당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