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ronfxkorea.com/wp-content/uploads/2024/09/Global.pn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안한 관세는 단순한 상징적 조치가 아니라, 실제로 미국 내에서 일자리를 잃게 만드는 ‘응징적’ 조치라고 프랭크 라빈 전 싱가포르 대사가 경고했다. 라빈은 CNBC의 ‘스트리트 사인 아시아’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단기적으로 나쁜 소식을 접하게 될 것”이라며 배경을 설명했다. 관세는 미국의 자동차 산업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라빈은 “타국들이 응답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벌어질 것”이라며, 특히 관세가 미국 경제에 물가 상승 압력을 일으킬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그는 트럼프가 이날 서명한 스틸과 알루미늄에 대한 25%의 관세가 이러한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라빈은 트럼프가 관세와 그 위협을 카드를 삼아 협상에 나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캐나다나 멕시코를 대상으로 하는 관세는 국경 보안 문제와 같은 사안을 이야기하기 위한 방식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라빈은 “전 세계에 걸친 스틸과 알루미늄 관세에서는 빠른 응답이나 문제 해결을 기대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이 우리에게 세금을 부과하면, 우리도 그들에게 부과할 것”이라고 하며 ‘상대적’ 태도를 강조했다. 이로 인해 글로벌 무역의 위축이 예상되며, 이는 다른 국가들이 적절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라빈은 “트럼프가 더 이상 단순한 신호를 보내거나 타협을 위한 관세를 설정한 것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현재 미국 경제는 “상태가 나쁘지 않다”고 라빈은 언급했지만, 관세가 경제에 비효율성을 초래하고 부정적인 압력을 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것은 또한 인플레이션 압력을 증가시켜,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하를 미루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라빈은 “트럼프가 연준에 이전에 금리 완화를 못하겠다며 불만을 표했다. 관세를 계속 유지하겠다면, 다음에도 완화는 없을 것”이라고 결론 지었다. 미국의 이러한 금리와 무역 정책은 세계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며, 앞으로의 경제 전망에 대한 우려 또한 커질 수밖에 없다.
![](https://ironfxkorea.com/wp-content/uploads/2024/10/IFX-BONUSES-1200X600-KR-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