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ronfxkorea.com/wp-content/uploads/2024/09/Global.png)
이탈리아의 두 번째로 큰 은행인 유니크레딧이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예상보다 높은 순이익을 기록하고, 주주 환원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분기 유니크레딧의 그룹 순이익은 19억 6900만 유로(약 20억 3000만 달러)로, 시장의 예상치인 18억 3000만 유로를 크게 웃돌았다. 같은 기간 동안 수익은 60억 유로에 달하며, 이는 58억 9800만 유로를 예상했던 분석가들의 예측도 초과했다.
4분기 주요 지표로는 유의미한 자본 수익률이 있었으며, 유니크레딧의 유의 자본 수익률(ROTE)은 11.5%로, 3분기의 19.7%에서 감소했으나 여전히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CET 1 자본 비율은 15.9%로 전분기의 16.1%에서 소폭 하락했으며, 운영 비용은 25억 유로로 전분기 대비 9.5% 증가했다.
유니크레딧은 연간 순이익이 9억 3100만 유로로 8.1% 성장했으며, 2025년에는 주주 환원을 강화하겠다고 보장했다. 이는 순이익의 50%를 현금 배당금으로 지급하겠다는 목표로, 지난해의 40%에서 상향 조정된 것이다. 또한, 유니크레딧은 2025년에서 2027년까지 17% 이상의 ROTE 성과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2024년의 17.7%와 비교하여 향상된 수치다.
안드레아 오르첼 CEO는 이번 결과와 함께 유니크레딧이 전략의 다음 단계로 나아가며 경쟁자들과의 격차를 더욱 넓히고, 가치 격차를 해소하고자 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2025년에는 230억 유로 이상의 연간 수익을 예상하였으나, 지난해 248억 유로에 비해 감소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러시아 내 유니크레딧 사업의 지속적인 압축과 순이자 수익의 중간 감소를 반영한 결과이다.
유니크레딧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탈리아의 인수합병(M&A) 주도권을 쥐고 있으며, 독일의 코메르츠방크에 대한 지분을 증가시키는 데 이어, 2024년에는 자국 동종업체인 반코 BPM에 대한 인수 제안을 잇따라 내놓았다. 반코 BPM측에서는 유니크레딧의 첫 제안을 거절했지만, 오르첼은 이를 “공정한 출발점”이라고 설명했다.
독일 정부는 유니크레딧의 코메르츠방크 인수 제안에 대해 “매우 공격적이고 불투명하다”고 비판하며, 이탈리아 정부도 국가적으로 인수합병을 둘러싼 계획이 세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이탈리아는 방위, 에너지, 통신, 금융 등의 주요 분야에서 외국 및 국내 기업 인수에 대해 규제를 두는 ‘황금권능’ 법률을 시행하고 있다.
시장 참가자들은 유니크레딧이 두 가지 타깃 중 하나에 집중할 것인지, 아니면 두 가지 모두를 동시에 추진할 것인지에 귀 기울이고 있다. 오르첼은 “어떤 비유기적 성장은 우리의 독립적 가치를 개선해야 하며, 엄격한 재무 및 전략적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s://ironfxkorea.com/wp-content/uploads/2024/10/IFX-BONUSES-1200X600-KR-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