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닉스(381620)가 최근 주가 상승폭을 크게 확대하며 7.28% 상승한 14,700원을 기록했다. 이번 주가는 3거래일 연속 오름세를 보였으며, 이와 동시에 VI(변동성 완화 장치)가 발동되었다. 제닉스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 전지,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자동화 물류 시스템(AMHS,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문 업체이다.
회사의 핵심 사업은 전자기기 및 제조 공정에서 필수적인 자동화 물류 장비인 Stocker와 다양한 자재를 자동으로 이송하는 물류 로봇 AGV/AMR의 개발 및 생산에 집중되어 있다. 이 중 반도체 공정용 Stocker는 반도체 웨이퍼가 담긴 FOUP(Front Opening Unified Pod)의 저장 및 반입, 반출을 담당하는 시스템으로, 제닉스의 주력 제품이라 할 수 있다.
제닉스의 최대주주는 배성관이며, 그의 지분율은 40.48%에 달하고, 주요주주는 에이케이케이 로보테크 밸류업 신기술투자조합으로 20.6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주가 상승은 삼성 전자와의 연관성이 크다. 2025년 2월 13일 급등 원인으로는 삼성전자가 ASIC용 HBM 공급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하며, 제닉스에 대한 스토커 공급 사실이 재조명되었기 때문이다.
지난 2월 12일에도 제닉스는 삼성전자 공급 소식에 힘입어 14.57% 상승하며 주가 강세를 보였고, 2월 7일에는 지난해 4분기 호실적 발표 이후 강세를 나타냈다. 이들 긍정적인 뉴스들은 투자 심리를 자극하여 개인과 외국인 투자자의 매수세를 이끌어냈다. 특히, 2월 13일 하루 거래량은 약 392만 주에 달하며, 이는 차별화된 시장의 반응을 암시하는 바이다.
또한, 제닉스는 2025년 2월 10일 주당 300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했다. 이는 주주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조치로, 배당 기준일은 2024년 12월 31일이다. 회사는 2024년 개별 기준으로 전년 대비 매출액이 3.53% 상승한 634.69억원, 영업이익은 30.56% 증가한 41.63억원, 순이익은 98.87% 증가한 62.28억원을 기록했다. 이러한 경영 실적은 회사의 성장세를 뒷받침하며, 향후 실적 향상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제닉스는 2025년 2월 21일 무상증자를 통해 추가 상장 예정이며, 이는 추가적인 자본 조달 및 기업의 성장 전략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요소들은 제닉스 주식에 대한 긍정적인 투자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