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 전쟁 심화, 중국, 중앙아시아와의 관계 심화

[email protected]





중미 간의 무역 전쟁이 계속해서 격화됨에 따라 중국은 중앙아시아와의 경제 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가 지원 기업들이 미국 수입품을 대체하고, 수출 경로를 변경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미국은 이 지역에서 오랫동안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점점 더 중국을 중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의 최신 뉴스 매체에 따르면, 지난 2월 10일 중국이 미국 에너지 수입에 10%의 초기 관세를 부과한 날, 베이징은 키르기스탄을 방문하여 기업 대표들이 파트너십 기회를 탐색하는 장면을 보도했다. 경제 전문가인 유니스 샤리플리는 “무역 전쟁이 계속됨에 따라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경제 협력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새로운 수출 경로를 개발하고, 지역 연결성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인프라 투자 확대를 통해 이뤄질 예정이다.

중국은 중앙아시아의 주요 무역 파트너이자 외국인 투자국으로 자리 잡았으며, 카자흐스탄, 키르기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의 다섯 국가와 밀접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중앙아시아는 중국의 일대일로(벨트 앤 로드 이니셔티브) 이니셔티브의 중요한 관문으로 여겨지고 있다. 2023년에는 중앙아시아 지도자들과 첫 대면 정상 회담을 개최한 바 있으며, 시진핑 대통령은 투자 및 무역 연계를 강화하겠다고 약속하였다.

미국은 그동안 중앙아시아에서 영향력을 발휘하려는 의도를 보였으나, 그 노력은 쉽게 실현되지 않았다. 전 아시아 개발은행 미국 대사인 커티스 친은 “중앙아시아 지역은 다양성이 큰 지역이며, 미국의 관심을 너무 적게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중앙아시아에서의 영향력은 대면을 통해서만 제대로 발휘될 수 있으며, 이는 중국이 잘 알고 있는 점”이라고 덧붙였다.

중국과 중앙아시아 간의 양자 무역은 최근 몇 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지난해 사상 최대인 948억 달러에 도달했다. 이는 미국과의 무역이 40억 달러를 조금 넘은 것에 비하면 현저히 높은 수치이다. 중국은 중앙아시아에 기계, 전자 제품, 제조 상품 및 차량을 수출하고 있으며, 중앙아시아는 자연 자원 및 농산물을 중국에 공급하고 있다. 이처럼 서로 보완적인 무역 관계가 형성되고 있다.

카자흐스탄은 지난해 중국과의 무역에서 438억 달러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2030년까지 400억 달러의 무역 목표를 세운 상태이다. 키르기스탄은 227억 달러, 우즈베키스탄은 138억 달러의 거래를 달성했다. 특히 키르기스탄에서의 중국 수입은 지난해에 비해 30배 이상 증가했으며, 이는 두 나라 간의 무역 확대 계획에 기여하고 있다.

중국은 미국으로부터의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부과한 반면, 중앙아시아에서의 무역 확대와 관계를 강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에너지 및 주요 광물, 전기차 분야에서의 중국의 투자는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인 전기차 제조업체인 BYD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및 타지키스탄으로의 시장 진출을 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우즈베키스탄에서는 가장 큰 해외 공장을 설립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특히,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러시아와의 관계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점점 더 중국을 무역 및 투자 파트너로 바라보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