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엔화의 가치가 최근 강세를 보이며, 100엔당 원화 가치가 2년 만에 최저 수준인 996.33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일 같은 시각의 977.77원보다 18.56원이 급락한 수치로, 2023년 4월 27일 1000.71원을 기록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미국의 정부가 발표한 상호관세 정책에 따른 안전 자산 선호가 엔화 강세의 주요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한국에서 생산되어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며, 이러한 조치는 미 경기 침체 우려와 맞물려 달러화의 약세를 초래했다. 이에 따라 엔화는 안전자산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강세를 보인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100엔당 원화값이 1000원에 근접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이날 달러당 원화값은 전일보다 4.4원 감소하여 1,471.0원으로 출발했지만, 추가적인 달러 약세로 인해 한때 1463.3원까지 상승하는 등 변동성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주간 거래는 소폭 하락하며 1467.0원으로 마감했다. 현재 달러인덱스는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약 1% 하락해 102대 중반을 기록하고 있으며, 지난해 10월 9일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아울러, 4일 예정된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에 대한 관망세가 원화값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이날 달러당 엔화 가치도 2.25엔 하락하여 147.02엔으로 집계됐다. 이러한 경제적 변화는 주식 시장과 외환 시장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엔화의 강세는 향후 한국 경제 및 시장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앞으로의 경제 정책에 대한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며, 글로벌 경제 지표와 정치적 이벤트가 원화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