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kTok, 미 법무장관의 보장에 따라 앱스토어에 남는다

[email protected]





미국 법무장관 팸 본디(Pam Bondi)는 애플 측에 이르기까지 틱톡이 미국 운영을 연장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보장서를 발송하며, 애플이 해당 플랫폼을 앱스토어에서 계속 운영할 수 있도록 지침을 전달했다. 이는 블룸버그 뉴스의 보도에 의한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금요일에 틱톡 금지 기한을 최소 75일 연장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만약 중국의 바이트댄스(ByteDance)가 틱톡의 미국 사업부를 매각하지 않는다면, 틱톡은 미국 내에서 금지될 예정이다.

본디 법무장관은 애플에 보낸 서한에서 트럼프의 기한 연장에 따라 행동해야 하며, 플랫폼을 호스팅함으로써 제재를 받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을 명시했다. 애플 측은 이와 관련하여 즉각적인 답변을 제공하지 않았다.

틱톡은 지난 1월, 첫 금지 기한에 따라 미국 사용자들을 위한 서비스가 일시 중단되었으며, 이후 2월 13일까지는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가 불가능했다. 그러나 애플은 본디 법무장관의 유사한 보장서를 받은 후 틱톡을 앱스토어에 다시 등록하였다.

이와 같은 연장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54%의 누적 관세를 중국에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뒤 며칠이 지난 후 이뤄졌다. 4월 2일 추가 관세가 시행되기 전에 대통령은 바이트댄스가 틱톡의 미국 운영을 매각하는 데 필요한 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해 관세를 인하할 수 있다고 언급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기자회견에서 “아마도 이뤄질 수 있도록 관세를 약간 줄여줄 수 있다”고 언급하며, “틱톡은 중요하지만, 관세 포인트 하나는 틱톡보다 더 가치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틱톡과 관련된 거래가 중국 측의 관세 문제로 인해 중단됐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이러한 양상은 기업들이 국제 무역에서의 정치적 요인에 얼마나 큰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중국과의 무역 관계가 악화되면서, 애플과 같은 기업들은 자신들의 플랫폼 운영에 대한 경로를 다시 점검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따라서 틱톡의 향후 운영 방식과 애플의 대응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러한 정치적 역학 관계가 결국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