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자산운용이 새롭게 출시한 ‘KODEX 미국 S&P500 버퍼 3월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가 하락장에서 기존의 KODEX 미국 S&P500 ETF보다 우수한 하락 리스크 완충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 ETF는 미국 S&P500 지수를 기반으로 하여 투자하는 방식으로, 특히 최근의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주목받고 있다.
지난달 25일 출시된 이 ETF는 10일 기준으로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가 약 13.6% 하락하는 사이에 -8.7%의 손실률을 기록하며, 같은 기간 KODEX 미국 S&P500이 -12.7%의 손실률을 보인 것에 비해 효과적인 방어력을 입증했다. 즉, 이 ETF는 다른 관련 ETF 대비 약 3.21 포인트의 수익률을 완충하는 성과를 나타낸 것이다.
KODEX 미국 S&P500 버퍼 3월 액티브 ETF는 하락장에서 옵션을 활용하여 손실을 약 10%까지 완충하고, 상승장에서는 약 16.4%의 수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ETF는 S&P500 지수 5650을 기준으로 설정되며, 하단 버퍼는 5075로, 손실이 10.2%를 초과할 경우 그 손실이 상정된다. 반면, 수익 캡은 6575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상승률에 따른 수익이 최대 16.4%까지 제공된다.
ETF는 2026년 3월 말까지 S&P500 지수가 5650에서 5075 사이에 있을 경우 수익률이 0%로 고정되며, 5650에서 6575 사이에서는 최대 16.4%의 상승률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수익 구조가 1년 단위로 설정되어 있기는 하나, 주식처럼 거래되는 ETF 특성 덕분에 언제든지 매매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투자자의 매매 시기와 가격에 따라 수익 구조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삼성자산운용은 KODEX 홈페이지를 통해 이와 같은 버퍼형 ETF의 누적 수익 추이와 종료일까지 보유 시 쓰일 수 있는 잔여 캡, 잔여 버퍼 등의 중요한 지표들을 매일 제공하고 있다. 김선화 삼성자산운용 ETF운용2팀장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문제로 인한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손실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방어형 ETF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하였다.
이에 대해 김 팀장은 특히 버퍼형 ETF가 실제로 다른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에 비해 수익률 하락을 완충하고 있으며, 기간이 진행됨에 따라 더 효율적인 수익 구조에 가까워질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이로 인해 하락 리스크를 대비하려는 보수적인 투자자들에게 최적의 상품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