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관세 면제 조치를 “작은 진전”이라 평가하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상호관세를 “완전히 폐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상무부는 “미국이 국제 사회와 내부의 합리적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실수를 바로잡기 위해 큰 발걸음을 내딛기를 촉구한다”며 이러한 내용의 온라인 성명을 발표했다.
현재 미국은 중국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14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중국은 이 조치의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중국 상무부는 “상호관세라는 잘못된 조치를 완전히 폐지하고,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한 평등한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올바른 길로 돌아가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스탠스는 일부 기술 제품에 대한 관세 면제 조치가 발표된 후 나왔다. 중국 상무부는 해당 면제 조치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 중으로 알려졌다. 오늘 발표된 조치는 스마트폰, 컴퓨터, 반도체, 태양광 전지, 플래시 드라이브 등을 포함한 다양한 기술 장비에서 관세를 면제하는 것으로, 애플과 같은 기술 대기업에게는 유리한 조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내 반응은 주류 매체와 소셜 미디어 모두에서 이미지를 갖추고 있으며, 최근의 면제 조치는 미국이 물러서는 증거로 해석되고 있다. 또한, 베이징 데일리는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에서 또 다른 퇴보”라는 의견을 전했다. 중국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웨이보에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또 다시 물러선다”라는 해시태그가 인기 검색어 2위에 오르기도 했다.
미국의 정책 변화는 기업 경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중국과의 무역 전쟁의 결과로서 20%의 관세가 여전히 모든 중국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는 점 또한 주목할 만하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러한 관세 조치가 미국 경제와 중소기업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이 매우 클 것이라는 경고를 감수하고 있다.
미국 백악관에서는 이번 논의에 대한 즉각적인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다. 이와 관련된 향후 의견 교환이 어떻게 이어질지 주목되는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