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정부가 반도체 산업을 위해 33조 원(약 23.25억 달러)의 지원 패키지를 발표했다. 이는 미국의 반도체 수입에 대한 세금 부과 가능성이 커지면서 국내 기업들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나온 조치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반도체 수입에 대한 세금 부과 비율을 곧 발표할 것이라고 전했으며, 반도체와 전자 공급망 전반에 대한 국가 안보 차원에서의 조사를 예고했다.
한국의 재정부에 따르면, 이번 지원 규모는 지난해 26조 원에서 약 25% 증가한 수치로, 반도체 클러스터에 대한 지하 전력 전송선 건설을 보조하고, 선진 산업 단지에 대한 인프라 자금 비율을 30%에서 50%로 증가시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2025년부터 2027년까지 반도체 기업에 20조 원 규모의 저금리 대출이 제공될 예정이다. 이는 기존의 17조 원에서 상향된 것이다.
한편, 한국 정부는 국내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위해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해외 인재를 위한 글로벌 공동 연구 프로그램도 추진할 예정이다. 한국은 세계적인 반도체 제조업체인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의 본거지로, 반도체는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 중 하나이다.
2024년 한국의 반도체 수출액은 1419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20% 가량을 차지하였다. 특히 미국은 한국의 두 번째로 큰 수출 시장으로, 2024년에는 전년 대비 10.5% 증가한 1278억 달러를 기록하며 연간 수출액 최고치를 갱신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국 코스피 지수는 0.68% 상승했으며, 삼성전자는 1.07%, SK 하이닉스는 0.17% 상승세를 보였다.
월요일, 한덕수 한국 대행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과의 즉각적인 세금 협상을 진행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보인다며 현지 언론인 연합뉴스에 언급했다. 이러한 흐름은 한국의 반도체 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신속한 대응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지원 조치는 반도체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앞으로도 한국은 반도체 산업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으로 예상된다.
